[saladdays::publication] 2020.01.05.익숙한 그집 앞.
http://naver.me/FFHXkdDd

[saladdays::making] 어쩐다.
[D:\DATA\saladdays\happy_170422.jpg (35.7kb)]
42-5=37.
시간조정 후 기록해야할 숫자. 37.
전 날 시간 조정 후 그만큼의 오차가 생겨 있다.
그냥 우연이다.
2월 22일에 수정을 위해 메모장에 저장해둔 글을 4월 22일에 열어본 것은 그냥 우연이다. 작업표시줄의 시간대로 24:48이라는 시간 기록을 25:25라고 고쳐 기록하게 된 것도 모두 그냥 우연일 뿐이다.
원본 파일을 starter.rtf라고 저장한 뒤,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기 ; welcome.rtf라고 다시 저장하고 읽어본다. "빨간 동그라미" 단락에서 그림판을 꺼내 새로만들기를 선택한다. 정품 PC에 크렉 소프웨어는 왠지 자꾸 꺼려져 아직 포토샵을 세팅하지 않았기에 별 수 없었다.
대략의 "빨간 동그라미"를 그리고 행복을 열어 본다.
"사진 찍어올 것"과는 또 다른 행복, 그것에 준하는, 꾀나 많은 타자의 행복 만큼의 상실과 망각, 좌절이 이미 나를 향해 Welcome이라고 하얗게 모조리 잊게 만드는, 예의 그것.
이번에도 역시 모친의 큰 잔소리가 빠지지 않는다. 좀 자라고...
'나이가 사십인데. 저런 나무람?...'
그런데 가려둔 페이지에 대고 "으이구 정말 쩐다" 하신다.
'동생 또는 언니도 그새 데리고...?'
Win7은 XP 처음 구동하던 때보다 더 빠르고 안정적이다. 유선의 느림이나 모바일의 제한으로 인해 컴 작업 기피 누적 현상은 해소될 듯 하다. 다만, 소원대로 TV에 HDMI로 출력하다 보니 또 다른 새로운 난점이 있다. 인터페이스의 개방성으로 인한.
다행히 2년생 아스파라거스는 분갈이를 마치고-첫 새순 2줄기는 잇다른 사고로 둘 다 꺾어져 버렸지만 3개의 새 순을 올려, 한 줄기는 달큰하게 밥상에서 잘 가셨고, 두 줄기는 왕성히 잎을 피우고 있다.
10년 쯤 미뤄왔던 문서, 메일, 보드, Index질을 이렇게 시작해서 어쩐다...
#어쩐다#누적#잠깐서다#우연#미루다#밀리다#
←
[D:\DATA\saladdays\170422_0222_starter.rtf]
170222.wed.22:13.어쩐다.
겨우내 온실에서 수분부족을 죽었으려나...
만 1년 반, 두살짜리 아스파라거스.
손질&칼리 요!
봄비에 오후께 꺼내놨는데 얼어죽으려나...
예전에 빨간색연필로 그려둔 편의점 유리문의 코카콜라 스티커.
빨간 원 안의 하얀 띠 둘 속의
행복을 여세요.
빨간색연필로 그림 아래 적어둔 글.
강북삼성병원옆 언덕길 편의점 문...어쩌구 저쩌구
"사진찍어올 것!!"
물론 나는 다시 그 편의점에 가지 않았으며,
독립문교도소공원샷과 그 바로 뒤 군부대 샷이 든 필름을
사진관에 부탁한 뒤
찾아오지 않았는지
찾아온 것을 잃었는지
사진관에,
건대입구로 이사 한 후
몇 번인가 사진관에 전화하는 나의 시간에 ...
무언가 골몰하며 사진을 찾아왔는지 잊었는지
정말 필름을 맡기긴 했는지
생각해보며 이내 잊곤하였다.
이젠 경복궁 자이와 경복궁 팰리스 공사가 한창이던,
2004년 경엔 아이앤아이스틸이 들어서있던,
최근에 드라마 도깨비에 그 앞 정동길이 보이던,
엊그제 드라마 피고인 보다 문득 떠오른 빨간 동그라미.
이젠 빨간색 연필로 그려둔 일기장과 몇 해 전
그 일기장을 찍었던 사진을,
그 사진을 업로드했다가 개인계정이 폐쇄된 천리안 계정의
포스트를 찾기 요망?
본인에겐 욕구이며
시스템에겐 실행인...
언젠가 읽어본 타인의 포스트.
간결한 사고 요!

[saladdays::publication] 배가른 딸기가 잔 속에서 구를 때 즈음에야 이게 아닌 줄. 170308.wed.20:35.
배가른 딸기가 잔 속에서 구를 때 즈음에야 이게 아닌 줄. 170308.wed.20:35.
98년. 단맛의 와인은 왜 구매가 안될까.
99년. 이전 것보다 값싼 마주앙에서 왜 다소 고급진 단맛이 날까?
2008년. 디지털티비 프렌치쿡앳더홈 로라캘더가 뭉겐 딸기 한 두 알을 밤새 와인 병에 넣었다 마시는 이야기를 한다.
코르동브루 출신 캐나다 사람인 애널리스트와 사석에서 그런 사담을 나누고 있을 것 같기도 한 삼십대, 99년에 "곧 서른"이라고 아직은 혹시 하던...그 삼십대에 그렇게 아하~!한다.
뭉게긴 귀찮다.
과도로 딸기의 뾰족한 부분에서 세로 반쯤 열십자를 넣고 잠길 정도로 붓는다.
곧 마시면 ...
아마 아직도 아니다 한다.
170308.wed.20:04.JIN.

[saladdays::making] 170112.thu.22:30.소통의난점.
170112.thu.22:30.소통의난점.
1. 1인당 계산법과 접시당 계산법 사이의 수많은 소통으로 갇혀있는 무수한 남겨진 이야기들.
2. 정확한 소구점에 대한 제작자와 접수자의 무수한 소시오그램.
3. 하니와 솔지의 여행기에서는 탁자마다 세팅된 모니터로 특정 메뉴를 주문하면 총알처럼 상층 레일로 (마치 플래시 무비 스크립트 곱하기 만분의 이동거리 경감 움직임처처럼)배달되던 샷.
4. 사회적 규제와 상거래의 수가 작용하여, 다른 무수한 수가 더욱 많은 변수를 개입시킨 매우 복잡하고 요원한, 그러나 항상 가까운, 너무나 쉬운, 엄마 아빠 빠빠.
5. 놀랍겠지만 없어도, 또는 없어야 사는 경우도 있다.
소시오그램 큰 줄 위에 다른 층으로
작은 줄 하나 친근감을 이으면,
소원한 것보다 나쁜, 적대적관계로 보이게 되는 큰그림을 이룬다.
연어튀김뼈, 후레쉬리치씨앗...적대적.

[saladdays] [saladdays] 이모머리얼 엔티쿼티. 170109.
17.01.09.
1page: background img-부분확대. |
[saladdays] 이모머리얼 엔티쿼티 |
P.2 : 상단 이미지. |
이모머리얼 앤티쿼티
immemorial antiquity |
P.3 : white BG |
ancient ... |
P.4 : white BG |
原形.
|

[saladdays::publication] Saladdays : Humanholic - Burnout Syndrom. 170107.
2017.01.07.sat.22:40.
Saladdays : Humanholic - Burnout Syndrom
여기가 "시원의 유래"라는 우리의 잠정적 무조건 의무조항은 이번 세기 우리 생의 축복받은 천형이다. 그 무조건 의무조항을 코딩하던 우리의, 지금의 우리의 "시원의 유래"로 인하여 매 순간 아까Aka 그 천형의 무게를 실감하고 있을 그 우리에 대해 잠시 염두에 두고 생각해보기로 하자.
인간이란, 인간을 이루는 정신, 그것이 태초부터 존재 자체가 그토록 치열하게 수많은 분자로 충돌하여 Superset과 subset을 날아다니는 미미한 존재였던가? 그 어느 불온한 분자 하나 또는 조직에 의해 한 순간에 그 고결한 외양으로 불온을 일삼을 잠재적 유해요소일 뿐이었던가? 불온이란 어느 분자로도 존재할 수 없어야 인간이다? 그것은 불가하며 불온은 불온이라 인정하여야 한다? 힘의 균형? 그러면서 아무렇지 않게 불온과 뒤섞여, 심지어 허무맹랑하게도 그 고귀한 인간을 불온에 냅다 덥석? 불온 분자 함량비와 생존률이 인간을 지배할 척도인 듯한 매우 불온한 결론에 도달하고서야, 나는 다시 조용히 나의 불온한 타자들을 관람할 수 있게 되었다. 단죄나 그 불온한 해꼬지들로부터 완벽한 외면을 이루어 낸 것이다.
그렇다면 그 불온한 관람의 한 조각을 관람해볼까...
(그것은 "폐쇄회로"라는 간단한 단어로 인간을 묘사한 90년대 신세대 문인의 단편이 앞선다. "나는 영희에게서 날아온 기본 폐쇄회로이다" 이 낯선 문장은 사실, 인간에 대한 나의 이해를 불온하게 만든다. 무자비하게 날아다니는 분자들의 움직임을 대략 살펴보도록 하자.)
Flying1 :
둥근 탁자에서 대여섯이 건배 중인, 텅빈 누나홀닭 밖에서 혼자 걷고있다.
'저게 또?'
분명 한 데 메였으나, 떨어져 나온 것일 게다. 처음 유치가 빠질 때 '속았구나'했었다. 세상에 날 때도, 이전 생에도, 이미 살았을 다음 생에도 인간에게 그런 부당한 일은 있지 않았다.
또 떨어져 나와 있다. 이제 혼자 거기 남아 버티거나 술래가 되거나 할 필요는 없다. 다만 아직 혼자 거기 버티고 있는 술래로 혼자 떨어져 나온 것인지 살펴보고 있다.
어느새 대학병원 후문을 지나 영안실 옆을 지나고 있다. 본관 입구에 다다랐을 때 시선이 왼쪽으로 쏠리는 걸 느꼈다. 고교시절 친분이 있던 다른 여학교 선배가 만화가 조석과 심각한 대화 중이었다.
'괜찮겠지?'
늘 하는 말은 그것이다. 괜찮을까.
오른쪽 통로로 접어들어 본관으로 들어간다.
Flying2 : 롯데몰 쇼케이스 포장닭 앞에 서 있다. '귀찮다.' 꾀 오래도록 생각들을 관람하고 섰다. 젊은 그 나이 그 시절에는 조금이라도 쾌적하고 인간적으로 폼나는 실속있는 대형마트가 있는 번화한 주택지에 거주하도록 노력하였다. 그러나 이제 그래서 귀찮다. 사실 이번 것도 공갈의 허세가 보인다.
핸드드립 고르려다 웹툰작가 김풍이 광고 중인 육칼라면 시식대에 잡힌다. 결국 5+1 한 팩 집어든다. 부피감. 결국 시내버스에서 고전을 면치 못한다.
Flying3 :
"어머니랑 닭사러 자주 왔었는데 기억하시는지..." 발골해주시는 닭집 아주머니에게 귀찮지도 않은지 제법 재잘댄다.
나는 환승 중이었다. 재촉할 필요도 없이 재래시장에서 무사히 정류장으로 돌아왔으나, 버스가 늦게 와서 재요금을 지불하였다.
Flying4 :
서둘러 저녁이라고 "렌틸오트오븐구이닭(반드시 재래시장에서 발골 토막쳐온 쪼가리 오븐 후라이-그것은 히스테리의 극치이다)"을 먹다가 문득 머릿속에 타이핑해본다.
'are you real 닭??'
누나홀닭에서 건배하던 오후에 혼자 걸으면서 무슨 생각을 했던가? 극에 달한 히스테리의 결말은 아직 혼자 "거기" 남아 있는 나를 느끼면서도 부정하는 못마땅함에 이른다.
게다가 이대로 날면, 육칼라면에 치아씨드 박힌다. May Be Die.
Flying 5 :
'Beethoven Sonata N° 29 'Hammerklavier' Daniel Barenboim'. 그것이 제목이었다.
최근 정차 중 들었던 라디오의 피아노 연주곡. 분명 그것이지만 아마 처음 듣는 듯한, 그럼에도 분명 그것임에 확실한 air waves. 공기의 미세한 파동으로 날아든 음색에 닿는 순간, 단번에 주변 모든 것들이 고요히 그 아름다운 본연의 자세로 남아있는 절대 안정감. 그 안정감 속에 악성 홀로 광기를 부리는 치명적인 광경. 언젠가, 이미 이젠 머지않은 그 어느 순간에 몹시 견디기 힘들도록 싫은 그 무언가가 덮칠 분명 그것.
어김없이 그 안정감의 함정에 빠져, 핸드폰 음악 어플로 악성을 마주하고 있다.
커서는 아직도 깜박이고 있다.
#BurnoutSyndrom#HumanHolic#AkaTheHuman#AirWaves#누구나홀딱반한#BeethovenSonataNo29HammerklavierDanielBarenboim#Beethoven#Hammerklavier#SonataNo29

[saladdays::publication] saladdays:친구아버지장례식.170108.
161228.00:30.saladdays.
친구 아버지 장례식.
"차암 못 됐네~!"
Epilogue
1. 정**&박**.
2. Insta 무.단.도.용.shot.
3. 드라마 도깨비에 "태희오빠"는 어릴 적에 피아노를 집에서 치워달라고 희망하여 도깨비 공유가 ...
4. 접기
연푸른빛 밑줄 폰트로 포스트 내에 이런 텍스트 버튼이 있다. 물론 펼치기 버튼을 눌러서 볼 수 있는 텍스트 버튼이겠지만 말이다.
'?... 밤세워 외박?'
그 아침에 왜 방문했었는지 기억을 취조해본다.
그러나 이내, 참 못된 저 상황에 대한 유예 기제로 닮은 기억에 빠지는 것은 어리석은 통증을 유발하게 되므로 다른 방어기제를 찾는다. 그 따위 놀림에 또 빠졌다고 혼이 나가도록 큰 꾸지람을 들은 다른 자아를 내세우고 일단 피해본다. '나 혹시 어디 비이니...'
"친구아버지장례식에갔다와서..."
5.
네이버 자바스크립트 "접기"
클릭하면 샷이 터져나온다.
샷마다 60평생을 살고 5분 쯤 기억한다.
단 두 글자만 보인다.
접기.
#친구아버지장례식#평생샷#아욱된장국#피아노#지하철#차암못됐따

[saladdays::+] OPEN.161215.thu.오전10:00
OPEN.161215.thu.오전10:00

[ThePawnshop::Publication] 171025.3ird Collateral : Order - TheOthers
171025.3ird Collateral : Order - TheOthers
삭제 중>>>
http://glime.pe.kr/xe/index.php?mid=in2015&document_srl=20717

[ThePawnshop::Publication] 170814.2nd Collateral ;just a moment ago
[ThePawnshop::Publication] ThePawnShop2017.1st collateral
2017.01.06.fri.23:30.
ThePawnShop2017.1st collateral.
다음 골목이었다.
모충공원 지나 해원海原 국도에 오르는 사잇길에 들어서던 참이었다. 눈 앞의 광경이 잠시 나를 잊어주는 사이, 뭔가 있다는 찰나의 직관直觀을 그와 맞먹는 억겁의 찰나에 놓는다.
구글 위치 정보가 허락도 없이 계정에 장소를 공유하는 동안, 왕후박나무가 바다에 들려주고 있는 이야기가 아련히 그 억겁의 찰나를 두드린다. 바닷가 텃밭 월동준비 중인 대백리 주민들과 간간히 눈이 마주치는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외면하듯 미뤄둔 왕후박나무와 바다의 그 이야기에 셔터를 깜박여본다. 십여년 전 출사에 이어 서너번째 외면하는 예의 그 이야기를 이번에도 꼭 남겨두렷다?
아름다운 낯선 풍경이 다소 아련히, 아무렇지 않은 친근함으로 파고들 때는 새학기에 꾀 괜찮아 보이는 친구가 다가올 때처럼 편히 맞이해서는 안 될 것 같은 비장함이 든다. 그것은 간단히 외면이라는 처세를 선택하지만, 결국 장면에 몰입하는 자연스러운 결과로 위태로워진다.
물론, 단편 스토리가 꼭 있을 것만 같아, 국문 전공 2학년 지루한 어느 봄날 오후 공강에 방문하였던 것이기는 하나, 진해 벗꽃길 언덕 어딘가의 골목길 안쪽 "민박여관" 풍경에 대한 이야기는 여관 이름도 잊은 지금까지도 인상적이다.
언덕 위 작고 구불구불한 골목길 안쪽 그 파란 스레트 집이 민박여관이라는 정감있는 작은 간판과 표지판을 늘어 놓고 들어 앉아 있는 자태는 그 자체로 이야기 꺼리였다. 주변을 조용히 몇 번 배회하면서 저승 명부전의 명부만큼이나 많은 이야기를 외면하다가 나는 문득 지난 달 즈음 읽었던 김연수의 소설 속 배경이 그 민박여관이었다는 것을 떠올렸다. 여행왔다가 스토리 구상을 하게 되었다는 그런 내용이었음에도 두서너 시간 동안 떠올리지 못하고 이야기 주위를 매우 주의하여 조용히 먐돌았다는 것은 조금은 슬픈 일이었다. 그리고 조금 더 슬픈 일은 뒤이어 깨달은 기억 때문이었다. 어릴 적 서울 변두리에서 자랄 적에 우리집 앞의 작은 그 나즈막한 언덕길이 어느새 진해 그 민박여관집 언덕길에서 느껴지고 있었다. 그런 스토리 난전亂廛에서 기성작가의 스토리 구상 여행담을 잊은 채 나의 출사인 듯 덤비던 꼬락서니하며, 유년 시절 신상 털기까지 진해의 벗꽃은 잔인하리만치 찬란했다. 슬픈 후일담은 벼락맞은 대추나무 카페에서 절정을 이루어 그 어느 스토리도 남기지 않게 되었다. 해질 녘에 진해 어느 구석진 도로에서 스물 대여섯 개의 이젤 중 한 개의 이젤 앞에서 초상화 하나를 받았다. 집으로 돌아오는 시외버스에서 김연수의 벼락맞은 대추나무에 관련한 소설을 읽을 때의 신선한 감흥을 생각하며, 그래도 아직 남아있는, 그 벗꽃 나무가 있는 스레트 지붕 가정집 민박여관의 이야기를 아주 외면하기로 했다.
바다가 다시 그럴 수도 있다. 왕후박나무가 다시 그럴 수도 있다. 털어 볼 만한 그 어느 신상 하나 없이 저 혼자 아직도 잘만 살며 또 그렇게 능숙히 외면할 수도 있다.
몇 달 전 작가 초대 TV 프로그램에서 김연수가 소개한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이라는 제목의 첫 감흥은 너무나 신선한 예의 그것이었으나, 주인공 카밀라의 이야기는 다소 충격 그 자체였다. 마치 '너 같은 존재가 감히 글을?' 이라는 메세지를 입은 듯 했던 그 무수한 강적들처럼. 종로 또는 강남 어디 사석에서 현직 작가들에게 매우 심한 터부를 당하고 혼자 먼저 일어서 나오는 감으로 TV 채널을 일찍 바꿨다.
무엇 대단한 이야기라도 되는 듯 슬쩍 나의 문을 건드린 이야기는, 풍경은, 그 처참함을 가리려 허세부리거나 더 끔찍한 무언가를 벗어대곤 한다. 다소 조금 약이 올라있던 나의 스물 언저리-Saladdays에 나는 <전당포에 들러 보세요>라는 장편 습작을 시도하여 그것들과 무엇인가 바꾸었다. 거래가 성사된다면, 아마도 "잘" 될 것만 같던 스물 대여섯살의 이야기다. 그러나 외면 중이었던 양 극의 이야기가 남겨둔 찌꺼기 모티프들을 몽땅 바꿔 넣어야 할 맹점이 남아 있다. 바다가, 왕후박나무가 정서적 배설을 시도하던 중 외면되어져, 이십여 년 만에 나에게 다시 닿아 그 외면이 끄끝내 문제가 되어, 그 위험한 예전의 거래를 집적댄다면, 그 배설구를 차라리 꼬매줄 것인가? 나약한 작자는 '그것 얼른 고쳐서'라며 매우 어지러운 생각을 한다.
여기, 매우 딱한 어느 젊은 날, 아니면 세상 모르고 밝던 어느 어린 날 읽던 젊은 수사의 이야기가 남아있는 머릿속-어느 후정의 뜨락에 앉아 '고작 이런 나라니'를 연발하고 있는 화자-한시적으로 작자 나-가 있으니 거래를 마무리할 것인지 잠시 생각해보시오.
#ThePawnShop2017#ThePawnShop2017Collateral1st#전당포에들러보세요#海原#直觀#직관

[ThePawnshop::+] OPEN.161215.thu.오전10:00.
OPEN.161215.thu.오전10:00

[J_TXT::Classify] 조음점과 조음기관 검색 >> 랑그(langue) & 빠롤(parole)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520439&cid=42121&categoryId=42121
랑그와 빠롤
[ langue and parole ]
(언어학) 사회적으로 확립된 언어학적 단위와 규칙의 체계(랑그)로서의 언어와 실질적으로 하는 말(빠롤)로서의 언어의 구분을 말한다. 이 구분은 소쉬르(Saussure)에 의해 도입된 것으로, 이론적 언어학에서 뿐만 아니라 '구조주의'라고 알려진 한층 확산된 사회과학 사상의 본체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소쉬르는 '랑그'에 대한 이해를 이론적 언어학의 최고의 관심으로 간주했다. 이것은 언어가 '빠롤'이 결과로서(예, 언어를 사용함으로 인해) 계속적으로 변화하지만, 언어의 내적 '구조적' 관계에 대해 강조한다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구조주의에서는 구조적 설명을 강조하여 때로는 개인적 주체나 행위자를 배제하는데, 이것은 또한 그 일방성으로 인해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랑그와 빠롤 [langue and parole] (사회학사전, 2000. 10. 30., 고영복)
------------------------------------------------------------------------------------------------------------------
*이 글이 담긴 지식리스트
과소 확장 아이들이 어떤 단어를 그 단어의 실제 의미가 허용하는 것보다 더 적은 범위의 지시물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 예컨대, 아이들은 ‘멍멍이’ 라는 단어를 자기 집에서 기르는 강아지만을 지시하고 일반적인...
과잉 확장 아이들이 어떤 단어를 실제 그 단어가 의미하는 것보다 더 광범위한 대상을 가리키는 ...
청크 Miller는 단기기억의 용량제한(7±2)에 대한 연구를 하며, 다양하게 나타나는 단기기억의 크기를 이해하기 위해서 기억되는 단위가 각 경우마다 다르다는 점을 인식하고 개개의 낱자, 단어, 문장 등의 기억단위에 대해 언급하였는데, 이 기억단위를 청크라고 한다. 즉 인간의 기억은 자극의 물리적 단위의 수보다는 의미 있는 청크의 수에 의해 제한되며, 대개 일곱 청크를 기억한다.
과소 확장 아이들이 어떤 단어를 그 단어의 실제 의미가 허용하는 것보다 더 적은 범위의 지시물에

[J_TXT::character] [Tube Link}그림 형제의 잔혹 동화 (엽기편) 성인동화 ( :신데렐라에 대한 뒷담화)

[J_TXT::ZinArticle] 공지영 "구하라 영상 공개 안 하겠다는데 굳이 확인한 판사, 처벌받아야"
공지영 "구하라 영상 공개 안 하겠다는데 굳이 확인한 판사, 처벌받아야"

[J_TXT::character] Cinderella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18756&cid=40942&categoryId=32954
신데렐라
[ Cinderella 음성듣기 ]
- 요약 프랑스작가 페로의 동화.
원어명 | Cendrillon |
---|---|
저자 | 샤를 페로(Charles Perrault) |
국가 | 프랑스 |
장르 | 동화 |
발표년도 | 1697년 |
주인공 상드리용(Cendrillon : 궂은 일을 도맡아 하는 여자)의 이야기가 민담으로 전해내려오던 것을 프랑스의 동화작가 샤를 페로가 1697년 그의 동화집 ≪옛날 이야기(Histoires ou Contes du Temps Passé)≫에 수록하면서 처음 출판이 되었다. 이후 다른 언어들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주인공의 이름이 바뀌는 경우가 있었지만 그 의미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으며, 흔히 알려져 있는 영어명 신데렐라(Cinderella)도 '재를 뒤집어 쓰다'는 뜻으로 항상 부엌 아궁이 앞에서 일을 하는 데서 붙여진 별명이다.
아버지, 새어머니, 그리고 두 명의 새 언니와 함께 사는 신데렐라는 힘든 집안일을 도맡아 하면서도 온갖 구박을 받지만, 마음씨 착한 그녀는 묵묵히 견뎌낸다. 어느 날, 그 나라의 왕자가 신붓감을 찾기 위해 무도회를 열고 젊은 여자들을 모두 초대한다. 새어머니와 두 언니는 화려하게 치장을 하고 무도회에 가지만, 신데렐라는 세 모녀가 시킨 집안일들 때문에 갈 수가 없었다. 그녀가 절망하여 울고 있을 때, 한 요정이 나타나 마술지팡이로 호박은 황금마차로, 생쥐들은 말로, 큰 쥐는 마부로 만들더니, 예쁜 옷과 유리구두로 신데렐라를 변신시켜 주었다. 그리고는 자정이 되면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게 될 것이라는 말을 남긴채 사라진다. 무도회에 참석한 신데렐라는 왕자님과 춤을 출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고, 춤을 추던 중 12시가 되어 급히 집으로 돌아가다가 그만 한 쪽 유리구두를 잃어버린다. 그녀가 흘리고 간 구두를 보고 왕자는 그 구두에 발이 맞는 아가씨를 찾아 아내로 삼겠다고 발표하고, 이 집 저 집을 거쳐 신데렐라의 집에 찾아왔을 때, 누구에게도 맞지 않던 구두가 그녀에게 꼭 맞자 왕자는 신데렐라에게 청혼을 한다. 요정의 요술로 다시 아름다운 모습이 된 마음씨 착한 신데렐라는 왕자와 결혼하여 오래오래 행복하게 산다.
이 이야기는 외적인 아름다움도 중요하지만, 착한 성품은 그 가치를 매길 수 없을만큼 귀중한 것이라는 교훈을 준다. 이와 같은 이야기는 유럽에서만도 500가지가 넘으며 아시아에도 많이 있는데, 가장 오래 된 문헌으로는 중국의 《유양잡조(酉陽雜俎)》로 9세기 때의 것이다. 한국에도 비슷한 내용의《콩쥐팥쥐》이야기가 있다. 이밖에도 신데렐라 동화를 소재로 한 음악작품으로 G.A.로시니의 오페라 《신데렐라》(1817), J.E.F.마스네의 오페라코미크 《신데렐라》(1890), S.S.프로코피예프의 발레 《신데렐라》(1941~44) 등이 있다.

[J_TXT::motif] dominant / submiss
https://dict.naver.com/search.nhn?query=SUBMISS&ie=utf8
독일어사전7
submiss [형용사] 공순한, 순종하는, 복종하는
https://dict.naver.com/search.nhn?query=dominate&ie=utf8
dominate 미국식 [ˈdɑːm-] play 영국식 [ˈdɒmɪneɪt]
1. (특히 불쾌한 방식으로) 지배하다
2. (...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 되다
3. (어떤 장소에서) 가장 크다
dominant (dominate) 미국식 [ˈdɑːm-] 영국식 [ˈdɒmɪnənt]
1. 우세한, 지배적인
2. 우성(優性)의
domination (dominate) 미국식 [dɑ̀mənéiʃən]영국식 [dɔ́m-]
1. 지배, 통치(rule) ((over))
2. 우세
3. [pl.] 주(主)천사 ((천사의 9계급 중 제4 계급의 천사))
dominate the academic world 학계에서 일인자로 군림하다
dominate one's husband 남편을 쥐락펴락하다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64705&cid=40942&categoryId=32310
두산백과
우위종[ dominant, 優位種 ]
생물군집 중에서 가장 지배적인 역할을 가지고 있는 종류로서 일반적으로 개체수도 많고 생산량도 많은 성질이 있으며, 환경에 대해서도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개체수도 많고 생산량도 많은 성질이 있으며, 환경에 대해서도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동물의 종개체군(種個體群)에는 이종개체(異種個體) 간에 상호관계가 있으며 생활하는 데에도 우열(優劣)의 순위관계를 이루고 있는데, 이 경우 강대(强大)한 것은 약한 것을 압박하여 우위에 있다고 하며 그러한 종류를 우위종이라 한다. 높은 순위를 차지하는 것을 우위에 있다고 말한다. 식물의 경우는 우점종(優占種)이라고 한다.
참조항목
열위종
카테고리
순수과학 > 생명과학 > 생물 > 생물일반
[네이버 지식백과] 우위종 [dominant, 優位種]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16477&cid=50334&categoryId=50334
용어해설 도미넌트[ dominant]
도미넌트 영화사전 ‘지배적인’ ‘우세한’ 이란 뜻. 음악에서는 주음(主音)에 대하여 5도의 관계를 가진 음, 즉 제5음. 색채학에서는 많은 색이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을 때, 그중에서도 가장 지배적인 색을 도미넌트 컬러라고 한다.외국어 표기 dominant(영어)
도미넌트 파퓰러음악용어사전 & 클래식음악용어사전 딸림음을 말하며, 스케일(음계) 5도의 음을 가리키며 토닉(으뜸음)에 이어서 조성 확립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도미넌트 또는 도미넌트 세븐스 코드를 의미하기도 한다.외국어 표기 dominant(영어)참조어 딸림음
도미넌트 파퓰러음악용어사전 & 클래식음악용어사전 딸림화음.
=딸림음.외국어 표기 dominant(영어)
[네이버 지식백과] 도미넌트 [dominant] (영화사전, 2004. 9. 30., propaganda)
https://cafe.naver.com/wkrrkehrwk/2733
D/S관계
D:dominate+남성을 뜻하는 male이 합쳐진 단어로써, 지배하는 사람을 뜻함.
S:submiss, 지배당하는 사람을 뜻함...
이하생략.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530190&cid=60657&categoryId=60657
문학비평용어사전
사디즘/마조히즘[ 加虐症/被虐症 , Sadism/Masochism, Sadismus/Masochismus]
사디즘은 타인에게 고통 혹은 굴욕을 가하거나 타인을 지배함으로써 성적 만족을 얻는 성도착증(perversion)의 한 형태를 말한다. 크라프트 에빙(Krfft-Ebing)은 프랑스의 문필가인 사드(Sade)의 작품과 관련해 이를 사디즘(sadism)이라고 명명했으며, 프로이트는 크라프트 에빙, 엘리스(Ellis) 등 기존의 성학자(性學者)들의 사디즘 개념을 더욱 확대해, 사디즘을 병리적인 성도착자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인간에게서도 나타나는, 성적 충동의 근본적인 발현 형태로 간주했다. 『성 이론에 관한 세 개의 논문』에서 프로이트는 성충동과 타인에 대한 공격성의 결합이라는 관점에서 사디즘을 설명한다.(SE 7, 157-8) 경우에 따라서 그는 사디즘을 성적 만족과 무관한 폭력의 행사로서 간주함으로써 후일 멜라니 클라인 같은 분석가에게서 나타나듯이 사디즘과 공격성이 동의어로 사용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프로이트에게 "본래적 사디즘"은 파괴 충동 혹은 지배 충동, 권력의지 등과 같은 충동이 "성기능에 직접 봉사"하는 것을 의미한다.(SE 19, 162) 「충동과 충동들의 운명」에서 프로이트는 사디즘을 충동의 능동성으로, 마조히즘을 수동성과 연관시키며 사디즘과 마조히즘을 반대의 속성을 갖는 대립쌍(Gegensatzpaar)으로 설명한다." a) 사디즘은 대상으로의 타인에 대해 폭력과 권력 행사를 하는 것이다. b) 이 대상이 포기되고 본인으로 대체된다. 충동이 본인을 향함으로써 능동적인 충동의 목표 역시 수동적인 것으로 변화된다. c) 다시 대상으로서의 타자를 찾는다. 충동의 목표가 변화되었기 때문에 이 타자는 이제 주체의 역할을 행사한다. c의 경우가 일반적으로 마조히즘이라고 불리우는 경우이다"(SE 14, 127-8)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마조히즘은 타인을 향해 가해자는 능동적인 충동이 수동적으로 자신을 향해 전환되는 것인데, 이러한 입장에 따르면 사디즘은 마조히즘보다 더 원초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제 프로이트는 죽음의 충동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새로운 설명을 시도한다. 「마조히즘의 경제적 문제」와 같은 후기 메타심리학 논문에서 프로이트는 죽음의 충동은 근본적으로는 주체 자신을 향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물론 죽음의 충동 역시 외부 세계를 향해 파괴적 본성을 발휘하지만, 죽음 충동의 일부는 유기체 내부에 남아 성적 자극의 도움을 받아 리비도와 결합한다. 프로이트는 이를 "원초적, 성애적 마조히즘"이라고 부른다.(SE19, 164)
마조히즘이란 주체가 자기 자신에게 가해지는 고통이나 굴욕에서 만족을 느끼는 성도착증의 한 형태이다. 크라프트 에빙은 오스트리아의 작가인 자허 마조흐(Sacher Masoch)로부터 마조히즘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프로이트는 사디즘에서와 마찬가지로 마조히즘을 단순한 병리적 성도착으로 간주하는 전통적인 성학자들의 견해를 넘어서며, 마조히즘을 유아기 성의 본질적 특징 혹은 무의식적 처벌 욕망, 더 나아가 죽음의 충동의 표현으로 간주한다. 앞에서 말했듯이 프로이트는 후기 메타심리학 연구를 통해 일차적, 성애적 마조히즘 개념에 도달했으며 이와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일차적 마조히즘에 대해 언급한다. 여성적 마조히즘은 어떤 사람이 예를 들면 거세, 성교를 수동적으로 당함, 혹은 분만과 같은 여성적 특징을 지닌 사람으로, 그리고 무력하고 나쁜 유아로서 취급당하기를 원하는 경우를 지칭한다. 어떤 사람이 무의식적 죄의식에 의해 지배되는 상황을 프로이트는 도덕적 마조히즘이라고 부른다. 도덕적 마조히즘은 성적 만족과 가장 거리가 있는 마조히즘의 형태라고 할 수 있겠지만, 이것이 성애적 마조히즘 혹은 여성적 마조히즘과 결합되면 다시 성적 만족과 결합된다. 이를 통해 "도덕이 다시 성화되고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다시 활성화된다."(SE19, 169) 이차적 마조히즘은 원래 사디즘적으로 사용되었어야 했을 충동이 사디즘적으로 발현되지 않고 자신으로 향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차적 마조히즘은 한편으로는 일차적 마조히즘에 덧붙여 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초자아에 의해 받아들여짐으로써 초자아의 사디즘을 강화시킨다. 임상적 관점에서 본다면 프로이트의 마조히즘 이론은 강박증, 치료에 대한 부정적 반응, 외상 신경증의 해명을 위해 도입되었다.(홍준기)
참고문헌
홍준기, 『라캉과 현대철학』, 문학과지성사, 1999년
S. Freud, Three Essays on the theory of sexuality(1905년), in: SE, VII, London: Hogarth Press, 1973년
S. Freud, Instincts and their vissicitudes(1915년), in: SE XⅣ, London: Hogarth Press, 1973년
S. Freud, The economic problem of Masochism(1924년), in: SE XIX, London: Hogarth Press, 1973년
J. Lacan, The Seminar Book Ⅺ. The Four Fundamental Concepts of Psychoanalysis, New York, London: W. W. Norton & Company, 1978년
참조어
성도착증, 죽음 충동, 가학증/피학증, 비평용어사전 편찬의 경과와 체계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사디즘/마조히즘 [加虐症/被虐症, Sadism/Masochism, Sadismus/Masochismus] (문학비평용어사전, 2006. 1. 30., 한국문학평론가협회)

[J_TXT::expression] Salad days : From Wikipedia, Shakespearean idiomatic expression meaning a youthful time
https://en.wikipedia.org/wiki/Salad_days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For other uses, see Salad Days (disambiguation).
"Salad days" is a Shakespearean idiomatic expression meaning a youthful time, accompanied by the inexperience, enthusiasm, idealism, innocence, or indiscretion that one associates with a young person. A more modern use, especially in the United States, refers to a heyday, a period when somebody was at the peak of their abilities—not necessarily in that person's youth. The quote "salad days" is from the Shakespearean play Antony and Cleopatra and is spoken in Act 1, Scene 5, by Cleopatra.
...
*idiomatic [ˌɪdiəˈmætɪk] 1. (언어 표현이 모국어 사용자가 쓰는 것같이) 자연스러운 2. 관용구가 든

[J_TXT::expression] For better to come, good must stand aside (C.G. Jung Foundation)
- https://mobile.twitter.com/cgjungny/status/1145045541706969089?p=v
- For better to come, good must stand aside
- - 더 좋은 일이 생기려면, 선은 옆으로 비켜서야 한다.

[J_TXT::motif] 원귀 寃鬼 ;왕신,몽달,삼태,객귀,영산,수비,수부. 191115.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22381&cid=50222&categoryId=50228
한국민속신앙사전: 마을신앙 편
원귀 寃鬼
저자 이건욱(李健昱), 국립민속박물관
정의
생전에 요절·객사·횡사 등으로 원한(怨恨)이 남아 저승에 들어가지 못한 영혼. 인간을 괴롭히는 악령(惡靈)을 일컫는 말.
내용
원귀는 왕신(王神), 몽달귀신, 삼태귀신, 객귀(客鬼), 영산, 수비, 수부 등으로 불린다. 흔히 영혼은 사령(死靈)과 생령(生靈)으로 나눌 수 있다. 사령은 사람이 죽은 후 저승으로 가는 영혼이고, 생령은 살아 있는 사람의 몸속에 깃들어 있는 영혼이다. 사령은 다시 조상령과 원혼으로 나눌 수 있다. 조상령은 순조롭게 살다가 저승으로 들어간 영혼으로 선령(善靈)이 되고 원혼은 생전에 원한이 남아 저승으로 들어가지 못한 영혼으로 사람을 괴롭히게 된다.
(이하 생략) [네이버 지식백과] 원귀 [寃鬼] (한국민속신앙사전: 마을신앙 편, 2009. 11. 12.)
*왕신王神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8931&cid=46655&categoryId=46655
;[정의]위대한 힘을 발휘했거나 억울하게 죽은 왕으로 액운을 물리치고 재복을 주거나 마을의 수호 역할을 한다는 신(神).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58975&cid=50222&categoryId=50229
;[정의]집안에 정식으로 봉안(奉安)한 처녀의 혼백. 곡식을 넣은 단지를 신체(神體)로 삼아 집 뒤란 장독대에 모시거나 치마, 저고리 등을 넣은 동고리나 반짇고리를 신체로 하여 벽장이나 다락에 앉힌다. 이승에서 정처없이 떠돌던 처녀 귀신은 왕신으로 좌정(坐定)하여 가족들의 지극한 정성을 받는 대신에 일종의 ‘가신(家神)’이나 ‘비운(悲運)의 조상신(祖上神)’으로서 집안을 잘 보살핀다. 그러나 왕신은 조금만 서운해도 집안에 큰 풍파를 일으키는 매우 무섭고 사나운 신령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오랜 기간 왕신을 모시면 언젠가 신벌(神罰)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서 결국에는 왕신 모시기를 포기하게 된다.
;1. 왕신 탄생의 심리적 배경
모든 죽음은 망자 본인과 그의 가족들을 불행과 슬픔으로 몰아넣는다. 특히 한 인간으로서 완성된 삶과 그에 따른 복락을 누리지 못한 채 맞이한 죽음은 상명지통(喪明之痛)을 ...
[네이버 지식백과] 왕신 [王神] (한국민속신앙사전: 가정신앙 편, 2011. 12. 15.)
*몽달귀신*삼태귀신
;도령신 https://terms.naver.com/alikeMeaning.nhn?query=E00179956
;[정의] 원한을 품은 채 죽은 총각 귀신. [내용 및 지역사례] 몽달귀신은 총각귀신을 뜻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밖에도 ‘도령귀신’이나 ‘삼태귀신’으로 부르기도 한다. 총각귀신은 장가도 들지 못한 채 죽은 귀신이기 때문에 원한을 품고...
;총각이 죽어서 된다는 귀신. [내용] 원귀(寃鬼)의 하나이다. 달리 도령귀신·총각귀신·삼태귀신이라고도 한다. 상사병에 걸려 죽은 총각이나 장가도 가지 못하고 죽은 총각은 그 혼령이 원귀가 되어 인간에게 악행을 저지른다고 믿는다...
*객귀客鬼 http://naver.me/53QAedIk
;[내용] 무속에서는 물에 빠져 죽은 사람이나 교통사고·자살·타살 등 집 밖에서 횡사한 사람은 객귀가 된다고 믿는다. 특히 객지에서의 죽음을 강조하여 ‘객사귀(客死鬼)’라고도 한다. 이렇게 죽은 사람의 넋이...
;떠돌이 귀신. 집 밖이나 객지에서 죽은 사람의 혼령을 말하며, 물에 빠져 죽은 사람이나 교통사고 ·자살 ·타살 등 집 밖에서 횡사한 사람이 객귀가 된다고 믿는다. 특히 객지에서의 죽음을 강조하여 객사귀(客死鬼)...
;집밖이나 객지에서 죽은 사람의 넋. [내용] 잡귀의 하나이다. 불행한 죽음이라고 믿어지는 자살·타살·수사(水死:익사)·교통사고사 등에 의해 죽은 귀신은 일정한 집에 좌정하지 못하고 ‘손[客]‘처럼 떠돌아...
;민속 참혹하고 억울하게 죽은 사람의 넋. ≒신산2(神山)ㆍ영선7(靈仙).
*수비*수부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58869&cid=46655&categoryId=46655
;[이칭별칭]수부, 수배(隨陪)
;[정의]주신(主神)에 따라다니는 잡귀잡신류(雜鬼雜神類).
;[내용]‘수부’라고도 하며 한자어로 ‘수배(隨陪)’라고 표기되기도 한다. 서울·경기지역의 옛 재수굿에서는 굿의 본거리를 모두 놀고 난 다음, 뒷전거리에서 다른 여러 잡귀잡신과 함께 수비를 반드시 쳐들고 놀렸다.
수비는 또한 굿 첫머리에 굿판의 정화를 위하여 진행되는 부정(不淨) 제차의 한 종류이기도 하다. 수비의 종류와 규모를 1930년대 오산(烏山) 박수 이종만(李鍾萬)의 뒷전(마당굿)무가를 통하여 살펴보면...
이 수비무가에는 17종류의 수비가 나오고 그 죽음의 형태도 8가지로 드러나 있다. 충청도 부여지역 축원굿의 마지막거리인 수부굿도 이들 수비를 놀리기 위한 거리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수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J_TXT::motif] 푸진(만주어: ᡶᡠᠵᡳᠨ fujin, 한국한자福晉 복진)은 몽골어로, 뜻은 한어(漢語)로 부인(夫人). 링크 드라마 보보경심.
Scarlet Heart보보경심드라마
https://ko.wikipedia.org/wiki/%EB%B3%B4%EB%B3%B4%EA%B2%BD%EC%8B%AC_(%EB%93%9C%EB%9D%BC%EB%A7%88)
https://ko.wikipedia.org/wiki/%ED%91%B8%EC%A7%84
푸진(만주어: ᡶᡠᠵᡳᠨ fujin, 한국 한자: 福晉 복진)은 몽골어로, 뜻은 한어(漢語)로 부인(夫人)을 의미한다
북원(北元)에서 칸의 처첩(妻妾)의 지칭으로 쓰이다가 후금(後金)에서 이를 인용해 내명부 및 외명부를 봉작한 작위로 썼다. 청나라 개국 후 내명부 제도를 명 황실의 것을 인용해 개정하면서 복진은 친왕(親王)·친왕의 세자(世子)·군왕(郡王) 등의 처첩(妻妾)을 봉작하는 외명부 작위로 한정된다. 편의상 복진을 비(妃)라고 교체해 표기하기도 한다.
종류
복진의 작위는 공식적으로 적복진(嫡福晉)과 측복진(側福晉), 비공식 작위인 서복진(庶福晉)이 있다.[1] 만주족은 황제만 제외하고 일부다처제였기에 여러 정실의 서열을 구별하기 위해 칭호를 달리 쓰기도 했다.
정실
적복진(嫡福晉) : 정실부인에게 내리는 작위이다. 대복진, 정복진, 계복진 모두 적복진이다. 대복진(大福晉) : 정실부인 중 으뜸을 상징한다.
정복진(正福晉) : 첫 정실이나 일찍 죽은 첫 정실 혹은 대복진을 다른 정실부인들과 구별하기 위해 쓴 칭호로 보인다.
계복진(繼福晉) : 대복진을 제외한 정실부인이다.
측실
측복진(側福晉) : 양첩(良妾)을 뜻한다.
서복진(庶福晉) : 비첩(婢妾)을 뜻한다.
소복진(小福晉) : 서복진과 유사한 개념이다.
격격(格格) : 황자의 시첩과 왕(親王·郡王) 혹은 세자(世子)[2]의 딸[3]에게 내리는 작위다. 복진보다 격이 낮다.
*(청에서는 친왕(親王)의 딸을 화석격격(和碩格格)으로, 군왕(郡王)의 딸과 세자의 딸을 다나격격(多羅格格)으로 삼았다. 후세의 사학자가 쓴 사서에는 한족의 국가인 명나라의 외명부 기준에 맞춰 군주(郡主), 현주(縣主), 군군(郡君) 등으로 수정되어 있기도 하다. )
청나라와 조선의 차이

후금(後金)의 국호를 청(淸)으로 교체하고 황제로 등극한 청 태종 숭덕제 홍타이지는 복진 제도를 외명부 작위로 한정시키고 내명부를 명나라 황실의 6궁(1后5妃) 제도를 응용한 5궁(1后4妃) 제도로 교체했다. 이에 청나라 황제의 적후(嫡后)는 오직 1인으로 한정되어 황후(皇后)로 봉작되었으며 4명의 정식 후궁은 비(妃)로 책봉토록 하였는데 이는 청의 3대 황제인 순치제 때 이르러 유명무실해졌다가 4대 황제인 강희제 때 후궁 제도가 완전히 개편된다.[4]
아버지 누르하치를 청의 1대 황제인 태조 천명제로 추존한 홍타이지는 아버지의 여러 복진(妻妾) 중 오직 자신의 생모만을 황후로 추존하였고 나머지는 본래의 작위인 복진으로 두었다. 이를 후세의 학자들이 이해의 용이함을 위해 몽골어를 어원으로 한 복진을 비(妃)로 고쳐 쓰기도 했는데[5], 순치제 때 이르러 효열무황후로 추존된 사실상 후금(後金)의 국모였던 대복진 아바하이가 대비(大妃)라고도 일컬어 지는 것이 바로 이러한 연유 때문이며[6][7], 정복진을 정비(正妃), 계복진을 계비(繼妃), 측복진을 측비(側妃), 서복진을 서비(庶妃)라 일컫는 것 역시 같은 맥락이다. 여러 복진 중 원배(元配: 초실, 처음 맞이한 아내)를 원비(元妃)라 사칭(史稱)해 구별하기도 하는데, 누르하치의 원배였던 퉁기야 씨와 홍타이지의 원배였던 뉴호록 씨가 바로 이 예이다. 홍타이지의 말년에 작위로써의 정식 원비(元妃)가 등장해 자칫 혼동될 수 있으나 시호의 유무 만으로도 쉽게 판별이 가능하다.
조선에서 대비(大妃)는 선왕의 왕비로서 생존 중인 여성의 작위이고, 정비(正妃)는 왕비, 원비(元妃)는 왕의 첫 정비, 계비는 왕이 상처한 후에 새로 들인 정비를 뜻하는 것이기에 흔히 오인되고 있다.[8] 또, 조선에서 여러 비빈을 구별하기 위해 호(號)를 붙였던 것처럼 측비와 서비가 등급이 없는 비호(妃號)로 오인되기도 하는데 측비는 단순히 측복진의 사칭(史稱)에 불과하며, 서비는 서복진의 사칭이자 순치제 때부턴 황제를 모셔 후궁의 반열에 올랐으나 출신 등의 이유로 정식으로 후궁에 책봉되지 못한 여성의 총칭(摠稱)이다. 실제로 서복진 역시 실제로 봉작되는 작위가 아닌 호칭에 불과하며, 명나라의 서비(庶妃)도 비빈(妃嬪)보다 밑 등급의 후궁 작위를 받거나 아예 후궁으로 봉작되지 못한 여성의 총칭이었다.
이하 생략.
*시첩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753505&cid=49232&categoryId=49232
시첩이란 귀인이나 벼슬아치를 곁에서 모시고 있는 첩을 일컫는 말이다. 『화랑세기』10세 미생랑 조에는 그가 평상시에 시첩을 거느렸던 것으로 나오고 있다
*시첩侍妾 : 함께 있으면서 시중드는 첩. 주로 귀족이나 벼슬아치가 데리고 사는 첩을 이른다.
*양첩良妾 : [명사] 양민(良民)의 신분으로 남의 첩이 된 여자.
*비첩婢妾 : [명사] 여자 종으로서 첩이 된 사람.
*격격(格格) : [명사][만주어] 공주. [만주족의 공주와 친왕의 딸에 대한 호칭]
*2019년 2월 27일 (수) 15:5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다하는데, "복진에 대한 체벌로 격격으로"운운하던 문구 찾을 수 없음.
(최초 검색시점은 보보경심 국내판 - 달의연인) 방영 직전)
-------------------------------------------------------------------------------------------
https://ko.wikipedia.org/wiki/%ED%91%B8%EC%A7%84
푸진(만주어: ᡶᡠᠵᡳᠨ fujin, 한국 한자: 福晉 복진)은 몽골어로, 뜻은 한어(漢語)로 부인(夫人)을 의미한다
북원(北元)에서 칸의 처첩(妻妾)의 지칭으로 쓰이다가 후금(後金)에서 이를 인용해 내명부 및 외명부를 봉작한 작위로 썼다. 청나라 개국 후 내명부 제도를 명 황실의 것을 인용해 개정하면서 복진은 친왕(親王)·친왕의 세자(世子)·군왕(郡王) 등의 처첩(妻妾)을 봉작하는 외명부 작위로 한정된다. 편의상 복진을 비(妃)라고 교체해 표기하기도 한다.
종류
복진의 작위는 공식적으로 적복진(嫡福晉)과 측복진(側福晉), 비공식 작위인 서복진(庶福晉)이 있다.[1] 만주족은 황제만 제외하고 일부다처제였기에 여러 정실의 서열을 구별하기 위해 칭호를 달리 쓰기도 했다.
정실
적복진(嫡福晉) : 정실부인에게 내리는 작위이다. 대복진, 정복진, 계복진 모두 적복진이다. 대복진(大福晉) : 정실부인 중 으뜸을 상징한다.
정복진(正福晉) : 첫 정실이나 일찍 죽은 첫 정실 혹은 대복진을 다른 정실부인들과 구별하기 위해 쓴 칭호로 보인다.
계복진(繼福晉) : 대복진을 제외한 정실부인이다.
측실
측복진(側福晉) : 양첩(良妾)을 뜻한다.
서복진(庶福晉) : 비첩(婢妾)을 뜻한다.
소복진(小福晉) : 서복진과 유사한 개념이다.
격격(格格) : 황자의 시첩과 왕(親王·郡王) 혹은 세자(世子)[2]의 딸[3]에게 내리는 작위다. 복진보다 격이 낮다.
*(청에서는 친왕(親王)의 딸을 화석격격(和碩格格)으로, 군왕(郡王)의 딸과 세자의 딸을 다나격격(多羅格格)으로 삼았다. 후세의 사학자가 쓴 사서에는 한족의 국가인 명나라의 외명부 기준에 맞춰 군주(郡主), 현주(縣主), 군군(郡君) 등으로 수정되어 있기도 하다. )
청나라와 조선의 차이
후궁 (중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후금(後金)의 국호를 청(淸)으로 교체하고 황제로 등극한 청 태종 숭덕제 홍타이지는 복진 제도를 외명부 작위로 한정시키고 내명부를 명나라 황실의 6궁(1后5妃) 제도를 응용한 5궁(1后4妃) 제도로 교체했다. 이에 청나라 황제의 적후(嫡后)는 오직 1인으로 한정되어 황후(皇后)로 봉작되었으며 4명의 정식 후궁은 비(妃)로 책봉토록 하였는데 이는 청의 3대 황제인 순치제 때 이르러 유명무실해졌다가 4대 황제인 강희제 때 후궁 제도가 완전히 개편된다.[4]
아버지 누르하치를 청의 1대 황제인 태조 천명제로 추존한 홍타이지는 아버지의 여러 복진(妻妾) 중 오직 자신의 생모만을 황후로 추존하였고 나머지는 본래의 작위인 복진으로 두었다. 이를 후세의 학자들이 이해의 용이함을 위해 몽골어를 어원으로 한 복진을 비(妃)로 고쳐 쓰기도 했는데[5], 순치제 때 이르러 효열무황후로 추존된 사실상 후금(後金)의 국모였던 대복진 아바하이가 대비(大妃)라고도 일컬어 지는 것이 바로 이러한 연유 때문이며[6][7], 정복진을 정비(正妃), 계복진을 계비(繼妃), 측복진을 측비(側妃), 서복진을 서비(庶妃)라 일컫는 것 역시 같은 맥락이다. 여러 복진 중 원배(元配: 초실, 처음 맞이한 아내)를 원비(元妃)라 사칭(史稱)해 구별하기도 하는데, 누르하치의 원배였던 퉁기야 씨와 홍타이지의 원배였던 뉴호록 씨가 바로 이 예이다. 홍타이지의 말년에 작위로써의 정식 원비(元妃)가 등장해 자칫 혼동될 수 있으나 시호의 유무 만으로도 쉽게 판별이 가능하다.
조선에서 대비(大妃)는 선왕의 왕비로서 생존 중인 여성의 작위이고, 정비(正妃)는 왕비, 원비(元妃)는 왕의 첫 정비, 계비는 왕이 상처한 후에 새로 들인 정비를 뜻하는 것이기에 흔히 오인되고 있다.[8] 또, 조선에서 여러 비빈을 구별하기 위해 호(號)를 붙였던 것처럼 측비와 서비가 등급이 없는 비호(妃號)로 오인되기도 하는데 측비는 단순히 측복진의 사칭(史稱)에 불과하며, 서비는 서복진의 사칭이자 순치제 때부턴 황제를 모셔 후궁의 반열에 올랐으나 출신 등의 이유로 정식으로 후궁에 책봉되지 못한 여성의 총칭(摠稱)이다. 실제로 서복진 역시 실제로 봉작되는 작위가 아닌 호칭에 불과하며, 명나라의 서비(庶妃)도 비빈(妃嬪)보다 밑 등급의 후궁 작위를 받거나 아예 후궁으로 봉작되지 못한 여성의 총칭이었다.
이하 생략.
*시첩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753505&cid=49232&categoryId=49232
시첩이란 귀인이나 벼슬아치를 곁에서 모시고 있는 첩을 일컫는 말이다. 『화랑세기』10세 미생랑 조에는 그가 평상시에 시첩을 거느렸던 것으로 나오고 있다
*시첩侍妾 : 함께 있으면서 시중드는 첩. 주로 귀족이나 벼슬아치가 데리고 사는 첩을 이른다.
*양첩良妾 : [명사] 양민(良民)의 신분으로 남의 첩이 된 여자.
*비첩婢妾 : [명사] 여자 종으로서 첩이 된 사람.
*격격(格格) : [명사][만주어] 공주. [만주족의 공주와 친왕의 딸에 대한 호칭]
*2019년 2월 27일 (수) 15:5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다하는데, "복진에 대한 체벌로 격격으로"운운하던 문구 찾을 수 없음.
(최초 검색시점은 보보경심 국내판 - 달의연인) 방영 직전)

[J_TXT::publisher] [촘스키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 노암 촘스키 저 | 와이즈베리 | 2017년 01월 10일 | 원서 : What Kind of Creatures Are We?
http://www.yes24.com/Product/Goods/35009615
변형생성문법에서 인지과학까지,
이 시대 최고 지성 촘스키 철학 사상의 결정판
『촘스키,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는 현대 언어학과 인지과학의 창시자이자 열렬한 사회 비평가로서 지난 50년간의 과학적 성과를 바탕으로 인간과 사회에 관한 자신의 핵심 철학을 정리하고 논쟁점을 광범위하게 비평한 ‘촘스키 인간론’의 정수다. 저자는 이 책에서 처음 변형생성문법 이론을 정립했던 1950년대 이후 거둔 인지 과학적 성과를 바탕으로 언어 연구가 어떻게 과학적으로 발전했는지를 명쾌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언어의 사회적 측면과 의사소통, 지시와 관련된 측면을 강조하는 여러 가지 다른 이론을 설명하고 비평한다. 또한 관심을 사회와 정치로 옮겨, 그가 ‘자유 사회주의’라고 설명하는 입장을 면밀히 탐구하고 철학적으로 옹호하는 것으로 글을 마무리한다.
이 책에서 저자는 이론 언어학, 인지과학, 과학철학, 과학사, 진화생물학, 형이상학, 지식 이론, 언어철학, 도덕·정치철학, 이상적인 교육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우리 인간이 어떠한 존재이며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가 사회, 정치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것이 우리의 사고를 어떻게 형성하는지 설명하면서 언어 과학자로 자신의 저작물에 대한 함축적 의미를 전한다.
이 책은 한 언어 과학자가 과학적 연구의 폭넓은 함의에 대해 평생에 걸쳐 고민한 내용이다. 따라서 사회적으로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는 정치적 논평과 달리 일반 독자들에게는 상대적으로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촘스키 자신이 직접 정리한 인간에 대한 네 가지 질문과 그 답을 따라 가다 보면 그가 인간을 어떤 존재로 바라보고 있으며, 어째서 무정부주의자가 되었는지 그의 거대한 사유의 자취와 정수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역자 : 구미화

[J_TXT::background] Avram Noam Chomsky 190329
에이브럼 노엄 촘스키 (Avram Noam Chomsky)[1]
출생
1928년 12월 7일, 미국 펜실베니아 주 필라델피아
국적
미국 파일:미국 국기.png
직업
언어학자, 철학자, 인지 과학자, 역사학자, 사회평론가, 사회운동가
학력
필라델피아 중앙 고등학교 졸업 (1941-1945)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학사 (-1949)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석사 (-1951)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구조언어학 박사(-1955)
경력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언어학 종신교수 (1961-2017)[2]
애리조나 대학교 교수 (2017-)
배우자
캐럴 촘스키 (1949년 결혼 ~ 2008년 사망)
발레리아 와서만 (2014년 결혼)
종교
없음 (무신론)
홈페이지
서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Noam_Chomsky_signature.svg.png
필라델피아에서 동유럽 출신 유대인 부부인 아버지 윌리엄 예브 촘스키와 어머니 엘시 시모노프스키 사이에서 아들로 태어난 미국의 언어학자, 철학자, 아나키스트, 정치 활동가이다.
1930년대 반유대주의를 경험하여 가톨릭에 대한 반감이 생겼다고 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유대교인은 아니며, 유대 혈통이지만 무신론자로 과학적 방법론을 중시한다.
1945년 펜실베니아 대학교에서 철학과 언어학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1950년대에 보편 문법이론을 발전시켜 언어학에 지금까지 높이 평가되는 탁월한 업적을 남겼다. 1967년 베트남 전쟁 비판을 시작으로 미국의 대외정책에 대한 비판을 계속하고 있는 미국 좌파의 대표적 인물.
2018년 기준으로 90세가 되었음에도 본인은 '계속 병원에 간다'고 이야기하지만 건강에 전혀 이상이 없어 보이고, 쉼 없이 강연을 다니고 언론 인터뷰를 하고 수많은 책들을 저술하고 있다.
촘스키는 인류의 뇌에는 언어 습득 장치(LAD: Language Acquisition Device)라는 고유한 기능을 하는 장치가 존재하며, 그 장치에는 보편문법(Universal Grammar)이란 원리가 작용하고 있다고 보아, 모든 인류 언어는 기본적으로 보편적인 기제에 의해 작용하며 언어는 인간의 고유한 특성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가설에 의거하여 촘스키는 50년대부터 변형생성문법(Transformation generative grammar)을 주창하였으며, 이러한 관점은 기존의 언어 연구에 심대한 영향을 주었다. 그의 연구는 단순히 문법 방면에만 그친 것이 아니라, 할레와의 공저인 SPE(The Sound Pattern of English)에서는 음운론 연구에 음소보다 더욱 작은 단위인 변별자질(distinctive feature)을 적극 활용하였다. 변별적 자질 개념은 유럽 구조주의자들에 의해 시작되었고 이를 미국으로 전파한 사람들도 유럽 구조주의자들이었지만 촘스키는 이를 구조주의자들의 전통적인 맥락이 아닌 다른 시각에서 받아들였고, 이게 현대 영미권의 음운론의 변별적 자질 개념의 기본이 된다. SPE는 변별적 자질 개념의 전면적인 도입 이외에도 영어의 강세 패턴에 대한 최초의 일반적인 이론화, 음운현상의 형식적 기술방식 등의 제시 등에서 대단히 중요한 저작이다. 이로써 촘스키는 그야말로 언어학의 전반을 석권한 대학자가 되었다고 과언이 아니다.
또한, 촘스키는 스스로가 제창한 이론에도 끊임없는 수정을 가하여 초기의 변형생성문법을 수정, 80년대에는 지배-결속이론(Government-Bind theory)를 제시하여 문법연구에 풍파를 일으키더니, 90년대에는 다시 그것을 수정한 최소주의 이론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촘스키의 자기발전 덕에, 일반 언어학계는 그저 촘스키의 옥음이 떨어지기만을 바라는 걸인의 상황으로 전락.촘스키 사마 저 논문좀 쓰게 논문 써주세요 물론 이러한 끊임없는 변화가 순전히 촘스키의 학문적 역량 덕인지, 젊은 시절의 업적을 통해 획득한 학계에서의 상징권력 덕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다. 촘스키의 이론에 반론을 제기한 제자들(Lakoff, McCawley, Jakendoff 등)은 어느 시대에나 있었으나 촘스키언 캠프 안에서 끊임없이 축출되어 왔다.
21세기 기준으론 언어학 관련으로는 전보다는 저술이나 강연이 많이 줄어든 편이지만, 90대를 바라보는 고령에도 MIT에서 종신 교수로 재직중이기 때문에, 언어학에서의 그의 위상은 쉽게 사그라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4]
촘스키의 이론은 언어학 뿐 아니라 심리학과 인지과학, 컴퓨터공학, 생물학 등에까지 영향을 주었고, 80년대-90년대에는 모든 분야를 통틀어 세계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학자였다. 또 통산하여 역사상의 모든 저술가 가운데 피인용수가 가장 많은 10인 중의 한사람이다. 세익스피어, 마르크스와 동급의 인용도를 보인다고 하며, 생존해 있는 지식인들 중에는 가장 중요한 인물로 꼽히기도 한다.
촘스키의 반대자들인 '기능주의자'에게는 엄청난 원성을 듣고 있기는 하나, 정말 20세기가 낳은 희대의 먼치킨이자 무소불위의 언어학자라고 보아도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촘스키 이후의 언어학은 언어에 대한 촘스키식의 접근방식(형식주의)을 따르는 학자들과 이에 저항하는 접근방식(기능주의)을 따르는 학자들로 나뉘며, 어느 입장을 따르든지 언어학에서의 촘스키의 공헌 자체를 부인하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두 접근방식이 너무나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형식주의자와 기능주의자들 사이의 이론적, 심리적 거리는 상당한 편.
언어학에서의 형식주의와 기능주의의 개념과 그 차이에 대해서는 언어학 문서에서 자세히 내용 추가바람
참고로 그의 언어학 연구는 그가 항상 비판하는 펜타곤이 지원하고 있다. 실제로 기계번역, 언어분석 분야 연구자금 중 상당히 많은 양이 펜타곤, DARPA에서 지원하는 것이다. 정보분석, 안보에 필요한 기술이기 때문.
https://en.wikipedia.org/wiki/Noam_Chomsky
Noam Chomsky
Avram Noam Chomsky (born December 7, 1928) is an American linguist, philosopher, cognitive scientist, historian, political activist, and social critic. Sometimes called "the father of modern linguistics", ...
- 노암 촘스키 (놈 촘스키 | Noam Chomsky) 언어학자, 대학교수
- 출생 1928년 12월 7일, 미국
- 소속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교수)
- 가족 배우자 캐롤 촘스키
- 학력 펜실베이니아대학교 구조언어학
- 경력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명예교수
1956~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언어학 교수 - 사이트 공식사이트

[J_TXT::publisher] ↓ → Just Like FireWall
↓ → Just Like FireWall
출판사서평 아래쪽 페이지.
이게 뭐냐...
헤세의 "원형" 이론이 '검은색의 기이한 아름다움'에 이를 즈음,
...

[J_TXT::publisher] 2018.11.22.카프카 변신.
2018.11.22.카프카 변신.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625157
네이버 책
오늘의 책 (2008.06.03 선정)
리얼리즘을 파괴한 20세기 문학의 신화무한을 향한 카프카의 세계 "말소된 페이지 딕셔너리 넘기듯 양쪽 겨드랑이가 가렵다 날자 날자 한 번만 더 날자꾸나" 날개를 갖는 꿈, 바동거리며 더 높은 곳을 향해 기어오르는 한 무더기의 군상들을 조소하며 우아하게 날아오르는 꿈, 그 한 무더기에 기생충처럼 붙어 살아가지 않을 꿈. 억압된 성의 욕구를 풀어냈던 무의식의 세계처럼 변신의 꿈은 규격화...
책소개
밀란 쿤데라는 카프카의 작품을 두고 '검은색의 기이한 아름다움'이라 표현했다. <변신>은 쿤데라의 이러한 표현에 더없이 적합하다. 카프카는 모든 것이 불확실한 현대인의 삶, 출구를 찾을 수 없는 삶 속에서 인간에게 주어진 불안한 의식과 구원에의 꿈을, 군더더기 없이 명료하고 단순한 언어로, 기이하고도 아름답게 형상화한다.
발표된 지 90년, 1950년 이래 우리나라에 소개된 지도 반백년이 넘은 <변신>의 번역본이야 수도 없이 많지만 이번에 출간된 <변신>은 삽화가 특히 돋보인다. 아르헨티나의 유명한 아티스트 루이스 스카파티의 삽화는 <변신>의 한 장면 한 장면을 더없이 '카프카적'으로 그려내는데 성공했다.
다른 색을 전혀 쓰지 않고 검은색으로만 처리한 이 삽화들은, <변신> 뿐 아니라, 카프카의 문학세계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알라딘 제공]
저자소개 프란츠 카프카
유대계 독일 작가. 현대 사회 속 인간의 존재와 소외, 허무를 다룬 소설가이다. 그는 비현실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상황 설정 속에서 인간의 존재를 끊임없이 추구한 실존주의 소설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무력한 인물들과 그들에게 닥치는 기이한 사건들을 통해 20세기 세상 속의 불안과 소외를 폭넓게 암시하는 매혹적인 상징주의를 이룩했다는 평을 받는다.
프란츠 카프카는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 프라하의 독일어를 쓰는 중간계급의 유태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는 자수성가한 상인으로 기골이 크고 독선적이었던 아버지와 관계가 좋지 못했다. 현실적이고 빈틈없는 아버지의 눈에는 아들의 모습이 몽상가에 불과했으며, 어린 카프카의 눈에 아버지는 지독한 일벌레에 가족은 안중에도 없이 사업의 성공에만 몰입하는 사람으로 보였다. 신분상승을 위해 어머니조차 아버지의 사업을 도와야 했기 때문에 그는 줄곧 남의 손에 의해 키워졌고, 그의 나이 두 살 때, 그리고 네 살 때 동생인 게오르크와 하인리히가 태어났지만 곧 죽고 마는 일을 목격하게 된다. 이후 그의 나이 여섯 살 때인 1889년 여동생 엘리가, 또 1년 뒤에는 발리가, 그리고 그 2년 뒤에는 오틀라가 태어나지만, 이 세 자매 역시 제2차 세계 대전의 광기에 희생당하고 만다. 아버지와의 불화와 동생들의 잇단 죽음을 목격하면서 그는 불안정한 유년기를 보낸다.
그의 아버지는 카프카에게 상인의 기질이 보이지 않자 독일계 인문 중고등학교에 입학시킨다. 이곳에서 카프카는 '루돌프 일로비, 시오니스트 후고 베르크만, 에발트 펠릭스 프리브람, 오스카 폴락 등 평생을 두고 교유하는 몇 명의 중요한 친구들을 만나게 된다. 1901년 프라하의 카를 페르디난트 대학에 진학한 카프카는 주로 문학과 예술사 강의에 흥미를 보였으나, 아버지의 바람대로 법학을 전공으로 선택한다. 하지만 법관이나 변호사가 될 생각은 추호도 없었으므로, 1906년 법학 박사 학위를 받고 법원에서 1년간의 수습 기간을 마친 뒤 일반 보험 회사에 입사한다. 1908년 보헤미아 왕국 노동자 상해 보험 회사로 자리를 옮긴 후로는 죽기 2년 전인 1922년까지 그곳에서 법률고문으로 근무하는 한편, 오후 2시에 퇴근하여 밤늦도록 글을 썼다.
이 무렵 유럽의 노동 환경은 무척 열악했다. 카프카는 공무 출장과 노동자들과의 접촉 등 이곳에서의 업무를 통해 관료기구의 무자비성, 노동자들에 대한 가혹한 대우와 이들의 비참한 생활상을 직...(하략)
[예스24 제공]
출판사서평
한 남자가 있다.
……어느 날 아침, 그는 벌레가 되어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그저 타성처럼 살아가며 정말 내 삶이 단지 그냥 한 마리 벌레보다 나은 게 무엇인지 간혹 섬뜩한 공포로 다가온다. 그런 맥락에서 카프카의 「변신」은 단지 기괴한 이야기만은 아니다. 인간 실존의 허무와 절대 고독을 주제로 하는 「변신」은 바로 이렇게, 사람에서 벌레로의 ‘변신’을 말한다.
「변신」은 벌레라는 실체를 통해 현대 문명 속에서 ‘기능’으로만 평가되는 인간이 자기 존재의 의의를 잃고 서로 유리된 채 살아가는 모습을 형상화한다. 그레고르가 생활비를 버는 동안은 그의 기능과 존재가 인정되지만 그의 빈자리는 곧 채워지고 그의 존재 의미는 사라져 버린다. 인간 상호간은 물론, 가족간의 소통과 이해가 얼마나 단절되어 있는가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
--장영희(서강대 영문과 교수)
현대문학의 신화가 된 카프카의 불멸의 단편!
카프카의 소설 「변신」은 20세기 문학의 신화라 불린다. 그 이전까지 서양소설사에서 굳건하게 버티고 있던 리얼리즘의 성채는 「변신」 이후 요란한 파열음을 내며 균열을 일으키기 시작했다.
밀란 쿤데라는 카프카의 작품을 두고 ‘검은색의 기이한 아름다움’이라 표현했다고 한다. 카프카의 대부분의 작품들이 그렇지만 「변신」은 쿤데라의 이러한 표현에 더없이 적합할 듯하다. 모든 것이 불확실한 현대인의 삶, 출구를 찾을 수 없는 삶 속에서 인간에게 주어진 불안한 의식과 구원에의 꿈 등을 「변신」에서 카프카는 군더더기 없이 명료하고 단순한 언어로, 기이하고도 아름답게 형상화하고 있다.
나는 마구간에서 말을 끌어내오라고 명령했다. 하인은 내 말을 못 알아들은 것 같았다. 나는 직접 마구간으로 가 말에 안장을 놓고 올라탔다. 멀리서 나팔 소리가 들려왔다.
“뭔가?”
나는 물었다. 하인은 알지 못했다. 그에게는 들리지 않았던 것이다. 문 앞에서 하인은 나를 잡고 물었다.
“어디로 가십니까?”
“나도 몰라. 단지 여기를 떠날 뿐이야. 여기서 나가는 거야. 어디까지라도 가는 거야. 그렇게 하지 않으면 나는 목표에 도달할 수 없어.”
“그럼 가실 데가 있으시군요?”
하인이 물었다.
나는 대답했다. “그럼, 물론이지. 방금 말하지 않았나. 여기서 나가는 것, 그것이 내 목표라고.”
--프란츠 카프카, 「출발」
발표된 지 구십 년, 1950년 이래 우리나라에 소개된 지도 벌써 반백년이 넘은 「변신」의 번역본이야 수도 없이 많지만 이번에 문학동네...(하략)

[J_TXT::expression] 아직 덜 익은 문체
아직 덜 익은 문체
Ex Libris.앤 페디먼.2001.
Naver 검색 Image.

[J_TXT::expression] 천박한 사람들과 그들의 결점에서 즐거움을
161229.thu.00:03.
"천박한 사람들과 그들의 결점에서 즐거움을..."
숀코너리가 주연한 배역-프란시스코 수사 윌리엄의 대사:영화 장미의 이름(움베르토 에코)

[J_TXT::character] Dir Verwandlung : Gregor Samsa. 카프카&하루키의 잠자.161216.16:05.
Dir Verwandlung : Gregor Samsa. 카프카&하루키의 잠자.161216.16:05.
;우리의 사랑하는 라거쌈싸!! 2016.12.
변신.2016.12.15.thu
1. Die Verwandlung.
2. Gregor Samsa.
3. 무라카미 하루키 사랑하는잠자.
숫자 3은 어느 날 아침 갑자기 “흉측한 해충”으로 변신한 주인공 잠자가 자신의 방에 철저하게 고립 밀폐되어 있다가 밖으로 나와 가족과 합류하려고 시도하다가 저지당하는 횟수와 일치한다. 결국 잠자는 두 번째 시도에서 아버지가 던진 사과를 맞고 생긴 상처가 덧나 비참한 죽음을 맞는다.
작품은 이렇게 시작한다. “그레고르 잠자는 어느 날 아침 불안한 꿈에서 깨어났을 때, 자신이 잠자리에서 한 마리 흉측한 해충으로 변해 있음을 발견했다.” 잠자는 “‘한숨 더 자서 이 모든 어처구니없는 일들을 잊어버리면 어떨까’하고 생각했으나 전혀 잠을 잘 수 없었다. 그는 오른쪽으로 누워 자는 습관이 있었는데 무수한 다리를 지닌 채 납작한 몸체를 한 해충의 몸으로는 아무리 노력해도 그런 자세를 취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http://m.terms.naver.com/entry.nhn?docId=1976924&cid=41873&categoryId=41873
무라카미 하루키 <여자 없는 남자들>
6. 사랑하는 잠자
카프카 <변신>의 주인공,
그레고르 잠자는 어느 날 벌레로 변한다.
반면 하루키의 '사랑하는 잠자'에서는 분명히 인간은 아니었던, 벌레였을 걸로 추정되는 '그' 가 어느 날 그레고르 잠자로 변신한다.
인간의 행동 습성을 혼자서 하나하나 터득하던 잠자는 여성 열쇠수리공의 느닷없는 방문에 얼떨떨한 감정과 함께 사랑을......
http://m.blog.naver.com/artmania05/220238155703
220238155703

[J_TXT::+] OPEN.161215.thu.오전10:00
OPEN.161215.thu.오전10:00

[Lager_Samsa::maked] 170313.mon.21:25.PostRock Gregor Samsa.
170313.mon.21:25.PostRock Gregor Samsa.
블로거 소개글.
http://m.blog.naver.com/fanh43/30006057011
네이버뮤직 듣기로 일 분 씩 들어봄.

[Lager_Samsa::Publication] [Poll]이런 책 살 것 같은가요?Lager Samsa Cyber Design. 170111.01:48.
[Poll]이런 책 살 것 같은가요?Lager Samsa Cyber Design. 170111.01:48.
문고판이며, 싯가 장편집과 동일한 가격대.
당신은 이런 표지의 책이 출판된다면, 동네서점 또는 교보 또는 큰 서점, 또는 인터넷 주문 등의 방법으로 구매할 것 같은가?
Live Poll>> 그냥 답만 체크하는 간단 설문.
.

[Lager_Samsa::maked] Lager Samsa 가상 책 만들기. 170111.01:34.
Lager Samsa 가상 책 만들기. 170111.01:34.
박스에 박스로 커버 붙임.
책 내부 박스 콘크리트맵 0.1타일.(집인가???)
커버는 비트맵 맵핑.
카메라는 퍼스펙트용 타겟하나. 프론트용 프리 하나.
조명은 타겟 둘로 주광(:쉐도)과 반사광. 옴니로 볼륨라이트 하나.
배경 박스 Raytrace 때문에, 쉐도와 주광 조절은 거기까지만.
간만에 구형 노트북으로 노가다 좀 해봤다.
펜티엄을 쌍둥이 조카가 부수지 않았다면
컴 버벅이 조금 덜 했을까?
윈7에 프로그램 세트 세팅하면 또 날 듯이 빠를까?

[Lager_Samsa::Publication] LagerSamsaEpisode2.Suisse.161227.
LagerSamsaEpisode2.Suisse.161227.
2016.12.27.tue.22:15~23:04.
Lager Samsa episode2.Suisse.
그레고르 잠자는 어느 날 아침 불안한 꿈에서 깨어났을 때, 자신이 잠자리에서 한 마리 흉측한 해충으로 변해 있음을 발견했다.
Suisse.
지난 밤은 스위스-다운;스러운;같은;풍이었던- 꿈이었다. 안좋은 꿈은 그닥 생각하지 않게 마련이다. 스위스와 케리어, 힐과 언덕길.
말끔한 책상 위 한켠의 메모 한 장.
그것이 두번째 에피소드의 전부인데, 메모의 task list를 짜낼 엄두도 내지 않는 것은, Graphic Interface의 그 어느 하나도 선뜻 쉽지 않다는 사실 때문이다. Photo, 3D modeling, 2D drawing, 그 어느 하나 어려울 것 없는 듯이 그 어느 GUI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렇게 만들면 되겠다는 머릿 속 동네의 이야기만 아련히 하늘거린다.
우리의 사랑하는 Lager Samsa의 task List "짤"은 '스위스'라는 머릿속 단어 하나로 마감되어질 수 밖에 없다. 생존본능이 아직도 어디에서 언제 meeting이 있다는 기억을 어슴프레 슬쩍슬쩍 뒤적이고 있으나...
그래서 Gregor Samsa는 이름이 뭐에요...
practice pieces,Publication,jin'Saladdays,die Verwandlung,Gregor Samsa,Lager,Schicht,Lager , Samsa,Kafka,Franz Kafka,村上春樹,Murakami Haruki,사랑하는잠자,숫자3,partir,arriver,maked,LagerSamsaEpisode,실감實感,Feeling 증강현실,잔감殘感,Pisces,LagerSamsaPisces,물고기자리,영화 물고기자리 속 차 안에서 듣 음악도시 유희열,물고기로 변신한 아프로디테와 에로스,가이아와 제우스 그리고 티폰,구별짓기,사회적 구별짓기와 벌레,그레고르 잠자와 구별짓기,Suisse,Switzerland
Switzerland

[Lager_Samsa::Publication] Lager Samsa Prologue.殘感.2016.12.23.fri.
Prologue. 2016.12.23.15:00~16:31.
殘感.
실감하는 나이에는...
아름답다.
외롭다.
마음이 아프다.
사랑한다.
쓸쓸하다.
절실히 실감할 때...
감정:신경 알고리즘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해볼 수 있을 정도로 적나라하다면...
그런데 세상 모르고 바쁘게 살다가
아무 이유없이 느닷없이 실감할 때,
지나치려 할 수록 반복될 때.
이미 그것은 잔감殘感임에 확연하나
......
스물 언저리에 누구나 아마 한 번 쯤 걸려봤을
매트릭스의 구멍.
카프카의 변신-그레고르 잠자를 기억해보는 동안, 영화 물고기자리 도입부에 차 안에서 유희열의 라디오 방송을 듣는 효과가 반복 잔상 되었다. ["여기가(=마음이) 아파요"라고 얘기해 보세요]
나일강가 신들의 잔치에 괴물 티폰(가이아가 제우스에게 복수하기위하여 낳은)이 습격하여 신들은 가장 자신있는 동물의 모습으로 도망갔다고 한다. 아프로디테는 아들 에로스를 데리고 물로 뛰어들며 물고기로 변하는 주문을 외웠다. 그 때 아들을 잃을까 발을 묶었다는 전설대로 제우스가 하늘에 별자리로 만들주었다고 한다.
그리스 신화 속 신들을 무결의 고귀한 아름다운 존재인 줄로만 알고 성장하였던 들, 신들이 복수에 혈안이 되어 괴물을 만들고 그로 인하여 짐승이 되었다는, 심지어 그것이 결말이라는 뻔뻔한 통보 쯤 무시하고, 물고기좌 유래를 이십년 넘게 늘 잊은 척 했던들, 그것이 존재의 시작점까지 흔들어댈 만큼 심각한 문제라고 할 수는 없었다. 신들의 신성을 유지하여 바라보기 위해 부지불식 간에 그 어떤 값을 지불하고 있었거나, 오히려 그것은 범죄였을 지도 모를 의식의 커다란 함정이었다.
스물 언저리에 마주친 가장 큰 구멍은, 괴물을 만드는 것 마저도 신의 능력이며, 그들은 의외로 일찍이 짐승이나 맹수, 괴물이 되어 아직 신의 형상을 잇고 있는 그것들은 세계의 유지를 위한 의식의 또다른 노비:괴물일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나의 스물에 그런들 어떠하리. 신의 경지란 그보다 훨씬 더 높은 고행의 연속이란 걸 이미 잘 알고 있었지 않던가. 다만 어쩔 수 없는 배신감과 난감함은 매트릭스의 또다른 구멍을 만들어 내고 있었다.
2016.Christmas eve.
전날오후네시반.by JIN.

[Lager_Samsa::Publication] Lager Samsa episode1. 161223.fri.13:22.
2016.12.23.fri.00:45~04:20.
(1223.13:21.2nd edit.)
Lager Samsa 1st episode.
그레고르 잠자는 어느 날 아침 불안한 꿈에서 깨어났을 때, 자신이 잠자리에서 한 마리 흉측한 해충으로 변해 있음을 발견했다.
잠시 멈춰서다.
Christmas eve. 전 날.
Claude debussy ‘Clair De Lune’ : 드뷔시 달빛. 사전적정의 : 엷은 초록빛. pale-green color. 찻잔에 프림이 원형을 그리며 녹아드는 화면의 프림광고가 매우 진하게 각인되어버린, 클래식 근원의 매우 진한 향수가 남아있는 달빛.
Intersect 지점 : 일기마저 없던 그 시절. 짧은 소통의 몇 마디 정도 무심히 있던, 아직 규칙적 생활이 당연하던, 그 세계의 부품이었던 그 시절. 그러나 그것이 교차하는지 그것에 교차하는지는 확인불가.
영악한 화자는 약간의 정신적 파탄 상태를 들쭉날쭉 여기저기 보이며, 제법 잘 피신한 척, 아직 지상 최고 픽션의 주인공일 수 있는 것처럼 사라지곤 한다.
매트릭스에 이렇게 큰 구멍이 있다는 것은, 어느 쪽이 화자고 어느 쪽이 작자이건, 진행도 멈춤도 불가한 곤란함이다.
교차지점에서 곧장 멈춰 선 나와, 그 지점으로부터 계속해서 파생되던 논쟁과 시비, 싸움, 소란으로 망가져가던 그것들로부터 멈춰선 내가 서로 다른 층으로 교차되고 있는 이 지점에서 잠시 그 시절의 내가 그 하루의 일기를 짧게 쓰거나 읽는다.
그러나 잠자(Gregor Samsa)는 이제, 친히 본인이 벌레가 되었다고 읽어주거나, 그 훨씬 이전 처럼 벌레에서 가뿐히 탈출한다고 일기 써주기도 하지 않는다. 또 얼마 전처럼 죽어도 벌레를 벗어나지 못하는 인간이라는 처절한 통보도 더이상 하지 않는다.
무엇인가 매우 아련한 날이다.

[Lager_Samsa::maked] LagerSamsaPisces01 : 신과 괴물의 구별짓기-사회적 구별짓기 벌래되다.
2016.12.22.thu.
Lager Samsa Pisces01 : 신과 괴물의 구별짓기-사회적 구별짓기 벌레되다.
1. 카프카의 변신-그레고르 잠자를 기억해보는 동안, 영화 물고기자리 도입부 유희열의 라디오 방송 효과가 반복하여 떠오른 이유는...
괴물 티폰과 신들의 피신.
영화 속 차 안에서 듣고 있는 심야 라디오 유희열의 목소리. ["여기가(=마음이) 아파요"라고 얘기하세요]
2. 나일강가 신들의 잔치. 괴물 티폰(가이아가 제우스에게 복수하기위하여 낳은)의 습격.
신들은 가장 자신있는 동물의 모습으로 도망.
아프로디테는 아들 에로스를 데리고 물로 뛰어들며 물고기로 변하는 주문. 잃을까봐 발을 묶었다는 전설대로 하늘에 별자리.
3. Naver 지식 검색.
물고기자리(끈으로 묶은 아프로디테의 사랑)
옛날에 올림포스 산의 신들이 이집트의 나일강 강가에 모여 흥겨운 잔치를 벌였습니다.
분위기가 한창 고조되고 신들이 술에 취해 있을 무렵 천지가 진동하며 괴물 티폰이 쳐들어 왔어요.
티탄 족을 정복한 제우스가 왕이 되어 신의 세계를 다스리기 시작하자 대지의 여신이자 티탄 족이었던 가이아는 제우스에게 복수를 하려고 괴물 티폰을 낳았던 거예요.
티폰은 대단히 큰 괴물로 전체는 사람 모습을 하고 있었지만 머리가 백 개나 되었답니다.
눈에서는 불이 이글거리며 타올랐고 입에서는 불을 내뿜었습니다.
몸집도 매우 커서 머리는 하늘의 별에 닿았고 등은 어떤 산보다도 높았으며 두 팔을 벌리면 동쪽 끝에서 서쪽 끝까지 닿았습니다.
세상에 무서운 것이 없었던 신들도 거대한 티폰 앞에선 속수무책이었습니다.
그래서 몸을 숨기려고 제각각 가장 자신 있는 모습의 동물로 변신하며 도망치기 시작습니다.
아름다움의 여신 아프로디테는 아들 에로스와 함께 잔치에 왔었습니다.
에로스는 전쟁의 신 아레스 사이에서 낳은 아들이었어요.
아프로디테는 에로스를 데리고 황급히 물 속으로 뛰어들면서 물고기로 변하는 주문을 외웠습니다. 이 때 아들을 잊어 버릴까봐 아프로디테는 아들과 자신의 발을 끈으로 묶은 채 물고기로 변해 헤엄쳐 도망 갔습니다.
나중에 제우스는 아프로디테의 자식 사랑에 감동하여 끈으로 묶인 두마리 물고기 모양의 별자리를 하늘에 만들어 주었습니다.

[Lager_Samsa::maked] feeling 실감하는 나이는...161222.thu.19:35.
feeling 실감하는 나이는...161222.thu.19:35.
아름답다.
외롭다.
마음이 아프다.
사랑한다.
쓸쓸하다.
절실히 실감할 때...
(인간의 감정 체계가 이러하구나 실감할 만큼)
그런데 가끔,
세상 모르고 바쁘게 살다가
아무 이유없이 느닷없이 실감날 때,
지나치려할 수록 반복될 때.
정신보건? 암검진?
생명보험계약?
사이보그회사 또는 클론연합 수배?
시를 써본다고 더 덧남?
연예계 데뷔 고려?
해외여행?
간단히 곧장 사망?
스물 언저리에 누구나 아마 한 번 쯤 걸려봤을
매트릭스의 구멍.

[Lager_Samsa::maked] 161218.sun.00:34.단풍나무사이로난작은길.
161218.sun.00:34.단풍나무사이로난작은길.
Core 부분패치로 수동 업데이트를 마치고 자러 와서 안경찾아 5분 쯤 푸닥거리를 하고서야, 절대 낀 것 같지 않던 감이 안경을 느끼게 되었다.

[Lager_Samsa::maked] <partir>Hey! 라거 쌈사, Samsa! 김풍년? 161215.12:20(2nd rec.12:58~14:40).thu.
1. partir(불)출발하다.
2.
3.
4.
5.
6.
7.
8.
9.
10.
11.
12.arriver(불)도착하다.(인 듯 하겠지만)
₩₩₩.광대역 : Xe db씨가 두번째 말아드심. 몇 주 전 Graphic 섹션 업로드에서 완전 무시 후 두번 째 사고이다.
그냥 날림? 처음부터 재기록?
2016.12.15.maked02>>
http://glime.pe.kr/xe/Lager_02

[Lager_Samsa::+] OPEN.161215.thu.오전10:00
OPEN.161215.thu.오전10:00

-
천박한 사람들과 그들...
161229.thu.00:03. "천박한 사람들과 그들의 결점에서 ...
2016-12-29
-
Dir Verwandlung : Gre...
Dir Verwandlung : Gregor Samsa. 카프카&하루...
2016-12-16
-
ThePawnShop2017.1st c...
2017.01.06.fri.23:30. ThePawnShop2017.1st collatera...
2017-01-07
-
No Image
LagerSamsaEpisode2.Su...
LagerSamsaEpisode2.Suisse.161227. 2016.12.27.tue.22...
2016-12-27
-
Saladdays : Humanholi...
2017.01.07.sat.22:40. Saladdays : Humanholic - Burn...
2017-01-08
-
No Image
Lager Samsa Prologue....
Prologue. 2016.12.23.15:00~16:31. 殘感. 실감하는 나...
2016-12-23
-
Lager Samsa 가상 책 ...
Lager Samsa 가상 책 만들기. 170111.01:34. 박스에 박...
2017-01-11
-
[saladdays] 이모머리...
17.01.09. 1page: background img-부분확대. [saladday...
2017-01-09
-
[Poll]이런 책 살 것 ...
[Poll]이런 책 살 것 같은가요?Lager Samsa Cyber Desi...
2017-01-11
-
LagerSamsaPisces01 : ...
2016.12.22.thu. Lager Samsa Pisces01 : 신과 괴물의 ...
2016-12-22
-
아직 덜 익은 문체
아직 덜 익은 문체 Ex Libris.앤 페디먼.2001. Naver ...
2016-12-29
-
No Image
<partir>Hey! 라...
<partir>Hey! 라거쌈사, Samga! 김풍년? 161215.12:20...
2016-12-15
-
170112.thu.22:30.소통...
170112.thu.22:30.소통의난점. 1. 1인당 계산법과 접시...
2017-01-12
-
배가른 딸기가 잔 속에...
배가른 딸기가 잔 속에서 구를 때 즈음에야 이게 아닌 ...
2017-03-08
-
어쩐다.
[D:\DATA\saladdays\happy_170422.jpg (35.7kb)] 42-5...
2017-04-23
-
161218.sun.00:34.단풍...
161218.sun.00:34.단풍나무사이로난작은길. Core 부분...
2016-12-18
-
No Image
Lager Samsa episode1....
2016.12.23.fri.00:45~04:20. (1223.13:21.2nd edit.) ...
2016-12-23
-
No Image
OPEN.161215.thu.오전1...
OPEN.161215.thu.오전10:00
2016-12-15
-
saladdays:친구아버지...
161228.00:30.saladdays. 친구 아버지 장례식. "차암 ...
2016-12-28
-
feeling 실감하는 나이...
feeling 실감하는 나이는...161222.thu.19:35. 아름답...
2016-12-22
-
No Image
OPEN.161215.thu.오전1...
OPEN.161215.thu.오전10:00
2016-12-15
-
Avram Noam Chomsky 19...
에이브럼 노엄 촘스키 (Avram Noam Chomsky)[1] 출생 ...
2019-03-29
-
No Image
OPEN.161215.thu.오전1...
OPEN.161215.thu.오전10:00
2016-12-15
-
No Image
OPEN.161215.thu.오전1...
OPEN.161215.thu.오전10:00
2016-12-15
-
170313.mon.21:25.Post...
170313.mon.21:25.PostRock Gregor Samsa. 블로거 소...
2017-03-13
-
No Image
조음점과 조음기관 검...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520439&...
2020-06-04
-
170814.2nd Collateral...
170814.2nd Collateral ;just a moment ago 2nd Collat...
2017-08-14
-
No Image
[Tube Link}그림 형제...
https://youtu.be/MRTnPMLHTiA 그림 형제의 잔혹 동화 ...
2020-01-09
-
No Image
171025.3ird Collatera...
171025.3ird Collateral : Order - TheOthers 삭제 중>...
2017-10-25
-
No Image
푸진(만주어: ᡶᡠᠵᡳᠨ fu...
Scarlet Heart보보경심드라마 https://ko.wikipedia.or...
2019-11-14
-
No Image
조음점과 조음기관 검...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520439&...
2020-06-04
-
No Image
[Tube Link}그림 형제...
https://youtu.be/MRTnPMLHTiA 그림 형제의 잔혹 동화 ...
2020-01-09
-
2020.01.05.익숙한 그...
http://naver.me/FFHXkdDd
2020-01-05
-
No Image
191222.Tube Morning F...
https://tv.naver.com/v/1690173 https://youtu.be/C5f...
2019-12-22
-
No Image
공지영 "구하라 ...
http://www.msn.com/ko-kr/news/other/%ea%b3%b5%ec%a7...
2019-11-26
-
No Image
Cinderella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18756&...
2019-11-26
-
No Image
dominant / submiss
https://dict.naver.com/search.nhn?query=SUBMISS&...
2019-11-24
-
No Image
Salad days : From Wik...
https://en.wikipedia.org/wiki/Salad_days From Wikip...
2019-11-19
-
No Image
For better to come, g...
https://mobile.twitter.com/cgjungny/status/1145045...
2019-11-15
-
No Image
원귀 寃鬼 ;왕신,몽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22381&...
2019-11-15
-
No Image
푸진(만주어: ᡶᡠᠵᡳᠨ fu...
Scarlet Heart보보경심드라마 https://ko.wikipedia.or...
2019-11-14
-
No Image
[촘스키 인간이란 어떤...
http://www.yes24.com/Product/Goods/35009615 변형생...
2019-03-29
-
Avram Noam Chomsky 19...
에이브럼 노엄 촘스키 (Avram Noam Chomsky)[1] 출생 ...
2019-03-29
-
↓ → Just Like FireWall
↓ → Just Like FireWall 출판사서평 아래쪽 ...
2018-11-22
-
No Image
2018.11.22.카프카 변신.
2018.11.22.카프카 변신. https://book.naver.com/book...
2018-11-22
-
No Image
171025.3ird Collatera...
171025.3ird Collateral : Order - TheOthers 삭제 중>...
2017-10-25
-
170814.2nd Collateral...
170814.2nd Collateral ;just a moment ago 2nd Collat...
2017-08-14
-
어쩐다.
[D:\DATA\saladdays\happy_170422.jpg (35.7kb)] 42-5...
2017-04-23
-
170313.mon.21:25.Post...
170313.mon.21:25.PostRock Gregor Samsa. 블로거 소...
2017-03-13
-
배가른 딸기가 잔 속에...
배가른 딸기가 잔 속에서 구를 때 즈음에야 이게 아닌 ...
2017-03-08
-
170112.thu.22:30.소통...
170112.thu.22:30.소통의난점. 1. 1인당 계산법과 접시...
2017-01-12
-
[Poll]이런 책 살 것 ...
[Poll]이런 책 살 것 같은가요?Lager Samsa Cyber Desi...
2017-01-11
-
Lager Samsa 가상 책 ...
Lager Samsa 가상 책 만들기. 170111.01:34. 박스에 박...
2017-01-11
-
[saladdays] 이모머리...
17.01.09. 1page: background img-부분확대. [saladday...
2017-01-09
-
Saladdays : Humanholi...
2017.01.07.sat.22:40. Saladdays : Humanholic - Burn...
2017-01-08
-
ThePawnShop2017.1st c...
2017.01.06.fri.23:30. ThePawnShop2017.1st collatera...
2017-01-07
-
아직 덜 익은 문체
아직 덜 익은 문체 Ex Libris.앤 페디먼.2001. Naver ...
2016-12-29
-
천박한 사람들과 그들...
161229.thu.00:03. "천박한 사람들과 그들의 결점에서 ...
2016-12-29
-
saladdays:친구아버지...
161228.00:30.saladdays. 친구 아버지 장례식. "차암 ...
2016-12-28
-
No Image
LagerSamsaEpisode2.Su...
LagerSamsaEpisode2.Suisse.161227. 2016.12.27.tue.22...
2016-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