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Jin_Xe2015



Scarlet Heart보보경심드라마

https://ko.wikipedia.org/wiki/%EB%B3%B4%EB%B3%B4%EA%B2%BD%EC%8B%AC_(%EB%93%9C%EB%9D%BC%EB%A7%88)

 

https://ko.wikipedia.org/wiki/%ED%91%B8%EC%A7%84

푸진(만주어: ᡶᡠᠵᡳᠨ fujin, 한국 한자: 福晉 복진)은 몽골어로, 뜻은 한어(漢語)로 부인(夫人)을 의미한다

 북원(北元)에서 칸의 처첩(妻妾)의 지칭으로 쓰이다가 후금(後金)에서 이를 인용해 내명부외명부를 봉작한 작위로 썼다. 청나라 개국 후 내명부 제도를 명 황실의 것을 인용해 개정하면서 복진은 친왕(親王)·친왕의 세자(世子)·군왕(郡王) 등의 처첩(妻妾)을 봉작하는 외명부 작위로 한정된다. 편의상 복진을 비(妃)라고 교체해 표기하기도 한다.

종류
복진의 작위는 공식적으로 적복진(嫡福晉)과 측복진(側福晉), 비공식 작위인 서복진(庶福晉)이 있다.[1] 만주족은 황제만 제외하고 일부다처제였기에 여러 정실의 서열을 구별하기 위해 칭호를 달리 쓰기도 했다.
정실
적복진(嫡福晉) : 정실부인에게 내리는 작위이다. 대복진, 정복진, 계복진 모두 적복진이다. 대복진(大福晉) : 정실부인 중 으뜸을 상징한다.
정복진(正福晉) : 첫 정실이나 일찍 죽은 첫 정실 혹은 대복진을 다른 정실부인들과 구별하기 위해 쓴 칭호로 보인다.
계복진(繼福晉) : 대복진을 제외한 정실부인이다.
측실
측복진(側福晉) : 양첩(良妾)을 뜻한다.
서복진(庶福晉) : 비첩(婢妾)을 뜻한다.
소복진(小福晉) : 서복진과 유사한 개념이다.
격격(格格) : 황자의 시첩과 왕(親王·郡王) 혹은 세자(世子)[2]의 딸[3]에게 내리는 작위다. 복진보다 격이 낮다.

*(청에서는 친왕(親王)의 딸을 화석격격(和碩格格)으로, 군왕(郡王)의 딸과 세자의 딸을 다나격격(多羅格格)으로 삼았다. 후세의 사학자가 쓴 사서에는 한족의 국가인 명나라의 외명부 기준에 맞춰 군주(郡主), 현주(縣主), 군군(郡君) 등으로 수정되어 있기도 하다. )

청나라와 조선의 차이

후금(後金)의 국호를 청(淸)으로 교체하고 황제로 등극한 청 태종 숭덕제 홍타이지는 복진 제도를 외명부 작위로 한정시키고 내명부명나라 황실의 6궁(1后5妃) 제도를 응용한 5궁(1后4妃) 제도로 교체했다. 이에 청나라 황제의 적후(嫡后)는 오직 1인으로 한정되어 황후(皇后)로 봉작되었으며 4명의 정식 후궁은 비(妃)로 책봉토록 하였는데 이는 청의 3대 황제인 순치제 때 이르러 유명무실해졌다가 4대 황제인 강희제 때 후궁 제도가 완전히 개편된다.[4]

아버지 누르하치를 청의 1대 황제인 태조 천명제로 추존한 홍타이지는 아버지의 여러 복진(妻妾) 중 오직 자신의 생모만을 황후로 추존하였고 나머지는 본래의 작위인 복진으로 두었다. 이를 후세의 학자들이 이해의 용이함을 위해 몽골어를 어원으로 한 복진을 비(妃)로 고쳐 쓰기도 했는데[5], 순치제 때 이르러 효열무황후로 추존된 사실상 후금(後金)의 국모였던 대복진 아바하이가 대비(大妃)라고도 일컬어 지는 것이 바로 이러한 연유 때문이며[6][7], 정복진을 정비(正妃), 계복진을 계비(繼妃), 측복진을 측비(側妃), 서복진을 서비(庶妃)라 일컫는 것 역시 같은 맥락이다. 여러 복진 중 원배(元配: 초실, 처음 맞이한 아내)를 원비(元妃)라 사칭(史稱)해 구별하기도 하는데, 누르하치의 원배였던 퉁기야 씨와 홍타이지의 원배였던 뉴호록 씨가 바로 이 예이다. 홍타이지의 말년에 작위로써의 정식 원비(元妃)가 등장해 자칫 혼동될 수 있으나 시호의 유무 만으로도 쉽게 판별이 가능하다.

조선에서 대비(大妃)는 선왕의 왕비로서 생존 중인 여성의 작위이고, 정비(正妃)는 왕비, 원비(元妃)는 왕의 첫 정비, 계비는 왕이 상처한 후에 새로 들인 정비를 뜻하는 것이기에 흔히 오인되고 있다.[8] 또, 조선에서 여러 비빈을 구별하기 위해 호(號)를 붙였던 것처럼 측비와 서비가 등급이 없는 비호(妃號)로 오인되기도 하는데 측비는 단순히 측복진의 사칭(史稱)에 불과하며, 서비는 서복진의 사칭이자 순치제 때부턴 황제를 모셔 후궁의 반열에 올랐으나 출신 등의 이유로 정식으로 후궁에 책봉되지 못한 여성의 총칭(摠稱)이다. 실제로 서복진 역시 실제로 봉작되는 작위가 아닌 호칭에 불과하며, 명나라의 서비(庶妃)도 비빈(妃嬪)보다 밑 등급의 후궁 작위를 받거나 아예 후궁으로 봉작되지 못한 여성의 총칭이었다.

 

이하 생략.

*시첩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753505&cid=49232&categoryId=49232

시첩이란 귀인이나 벼슬아치를 곁에서 모시고 있는 첩을 일컫는 말이다. 『화랑세기』10세 미생랑 조에는 그가 평상시에 시첩을 거느렸던 것으로 나오고 있다

*시첩侍妾 : 함께 있으면서 시중드는 첩. 주로 귀족이나 벼슬아치가 데리고 사는 첩을 이른다.

*양첩良妾 : [명사] 양민(良民)의 신분으로 남의 첩이 된 여자.

*비첩婢妾 : [명사] 여자 종으로서 첩이 된 사람.

*격격(格格) : [명사][만주어] 공주. [만주족의 공주와 친왕의 딸에 대한 호칭]

 

*2019년 2월 27일 (수) 15:5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다하는데, "복진에 대한 체벌로 격격으로"운운하던 문구 찾을 수 없음.

(최초 검색시점은 보보경심 국내판 - 달의연인) 방영 직전)

 

-------------------------------------------------------------------------------------------

https://ko.wikipedia.org/wiki/%ED%91%B8%EC%A7%84


푸진(만주어: ᡶᡠᠵᡳᠨ fujin, 한국 한자: 福晉 복진)은 몽골어로, 뜻은 한어(漢語)로 부인(夫人)을 의미한다

 북원(北元)에서 칸의 처첩(妻妾)의 지칭으로 쓰이다가 후금(後金)에서 이를 인용해 내명부 및 외명부를 봉작한 작위로 썼다. 청나라 개국 후 내명부 제도를 명 황실의 것을 인용해 개정하면서 복진은 친왕(親王)·친왕의 세자(世子)·군왕(郡王) 등의 처첩(妻妾)을 봉작하는 외명부 작위로 한정된다. 편의상 복진을 비(妃)라고 교체해 표기하기도 한다.

종류
복진의 작위는 공식적으로 적복진(嫡福晉)과 측복진(側福晉), 비공식 작위인 서복진(庶福晉)이 있다.[1] 만주족은 황제만 제외하고 일부다처제였기에 여러 정실의 서열을 구별하기 위해 칭호를 달리 쓰기도 했다.
정실
적복진(嫡福晉) : 정실부인에게 내리는 작위이다. 대복진, 정복진, 계복진 모두 적복진이다. 대복진(大福晉) : 정실부인 중 으뜸을 상징한다.
정복진(正福晉) : 첫 정실이나 일찍 죽은 첫 정실 혹은 대복진을 다른 정실부인들과 구별하기 위해 쓴 칭호로 보인다.
계복진(繼福晉) : 대복진을 제외한 정실부인이다.
측실
측복진(側福晉) : 양첩(良妾)을 뜻한다.
서복진(庶福晉) : 비첩(婢妾)을 뜻한다.
소복진(小福晉) : 서복진과 유사한 개념이다.
격격(格格) : 황자의 시첩과 왕(親王·郡王) 혹은 세자(世子)[2]의 딸[3]에게 내리는 작위다. 복진보다 격이 낮다.

*(청에서는 친왕(親王)의 딸을 화석격격(和碩格格)으로, 군왕(郡王)의 딸과 세자의 딸을 다나격격(多羅格格)으로 삼았다. 후세의 사학자가 쓴 사서에는 한족의 국가인 명나라의 외명부 기준에 맞춰 군주(郡主), 현주(縣主), 군군(郡君) 등으로 수정되어 있기도 하다. )

청나라와 조선의 차이

 후궁 (중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후금(後金)의 국호를 청(淸)으로 교체하고 황제로 등극한 청 태종 숭덕제 홍타이지는 복진 제도를 외명부 작위로 한정시키고 내명부를 명나라 황실의 6궁(1后5妃) 제도를 응용한 5궁(1后4妃) 제도로 교체했다. 이에 청나라 황제의 적후(嫡后)는 오직 1인으로 한정되어 황후(皇后)로 봉작되었으며 4명의 정식 후궁은 비(妃)로 책봉토록 하였는데 이는 청의 3대 황제인 순치제 때 이르러 유명무실해졌다가 4대 황제인 강희제 때 후궁 제도가 완전히 개편된다.[4]

아버지 누르하치를 청의 1대 황제인 태조 천명제로 추존한 홍타이지는 아버지의 여러 복진(妻妾) 중 오직 자신의 생모만을 황후로 추존하였고 나머지는 본래의 작위인 복진으로 두었다. 이를 후세의 학자들이 이해의 용이함을 위해 몽골어를 어원으로 한 복진을 비(妃)로 고쳐 쓰기도 했는데[5], 순치제 때 이르러 효열무황후로 추존된 사실상 후금(後金)의 국모였던 대복진 아바하이가 대비(大妃)라고도 일컬어 지는 것이 바로 이러한 연유 때문이며[6][7], 정복진을 정비(正妃), 계복진을 계비(繼妃), 측복진을 측비(側妃), 서복진을 서비(庶妃)라 일컫는 것 역시 같은 맥락이다. 여러 복진 중 원배(元配: 초실, 처음 맞이한 아내)를 원비(元妃)라 사칭(史稱)해 구별하기도 하는데, 누르하치의 원배였던 퉁기야 씨와 홍타이지의 원배였던 뉴호록 씨가 바로 이 예이다. 홍타이지의 말년에 작위로써의 정식 원비(元妃)가 등장해 자칫 혼동될 수 있으나 시호의 유무 만으로도 쉽게 판별이 가능하다.

조선에서 대비(大妃)는 선왕의 왕비로서 생존 중인 여성의 작위이고, 정비(正妃)는 왕비, 원비(元妃)는 왕의 첫 정비, 계비는 왕이 상처한 후에 새로 들인 정비를 뜻하는 것이기에 흔히 오인되고 있다.[8] 또, 조선에서 여러 비빈을 구별하기 위해 호(號)를 붙였던 것처럼 측비와 서비가 등급이 없는 비호(妃號)로 오인되기도 하는데 측비는 단순히 측복진의 사칭(史稱)에 불과하며, 서비는 서복진의 사칭이자 순치제 때부턴 황제를 모셔 후궁의 반열에 올랐으나 출신 등의 이유로 정식으로 후궁에 책봉되지 못한 여성의 총칭(摠稱)이다. 실제로 서복진 역시 실제로 봉작되는 작위가 아닌 호칭에 불과하며, 명나라의 서비(庶妃)도 비빈(妃嬪)보다 밑 등급의 후궁 작위를 받거나 아예 후궁으로 봉작되지 못한 여성의 총칭이었다.

 


이하 생략.

*시첩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753505&cid=49232&categoryId=49232

시첩이란 귀인이나 벼슬아치를 곁에서 모시고 있는 첩을 일컫는 말이다. 『화랑세기』10세 미생랑 조에는 그가 평상시에 시첩을 거느렸던 것으로 나오고 있다

*시첩侍妾 : 함께 있으면서 시중드는 첩. 주로 귀족이나 벼슬아치가 데리고 사는 첩을 이른다.

*양첩良妾 : [명사] 양민(良民)의 신분으로 남의 첩이 된 여자.

*비첩婢妾 : [명사] 여자 종으로서 첩이 된 사람.

*격격(格格) : [명사][만주어] 공주. [만주족의 공주와 친왕의 딸에 대한 호칭]

 


*2019년 2월 27일 (수) 15:5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다하는데, "복진에 대한 체벌로 격격으로"운운하던 문구 찾을 수 없음.

(최초 검색시점은 보보경심 국내판 - 달의연인) 방영 직전)